AD
[앵커]
사람을 두 번 죽인다는 말이 있는데요, 이런 경우도 바로 그런 것 같습니다.
일제 강점기 강제로 일본 노동 현장에 끌려가 숨진 조선인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추모비가 철거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도쿄에서 최명신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일본 군마현 '군마의 숲'에 있는 '징용 조선인 추모비'입니다.
일제 강점기 군마현에 강제 징용돼 안타깝게 숨진 조선인을 추모하기 위해 지난 2004년 일본의 시민 단체 회원들이 성금을 모아 세웠습니다.
'조선인에게 큰 손해와 고통을 준 역사의 사실을 깊이 반성해 다시는 잘못을 반복하지 않겠다'는 결의를 담은 내용이 한글과 일본어로 쓰여 있습니다.
숙연해야 할 곳이지만 우익들은 오히려 조롱을 퍼붓습니다.
[인터뷰:우익단체 회원]
"군마에서 사고나 과로사로 고귀한 목숨을 잃은 사람도 적지 않았다'는 식으로 쓰여있지만 목숨을 잃은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제로입니다. 완전히 제로입니다."
군마현 의회는 한술 더 떠 아예 추모비를 철거하자는 결의안까지 내놨습니다.
'추모비를 지키는 모임'이 매년 추모 행사를 열면서 강제 연행에 대한 사죄를 요구하고 일본 정부의 역사 인식을 비판한 것을 문제삼은 겁니다.
[인터뷰:군마현 의원]
"한일 관계가 응어리가 생겨서 서로 혐오감을 느끼는 그런 정치적인 추모비가 되면 곤란하다고 생각합니다."
군마 현의회는 다음 주 본회의에서 추모비 철거 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일본에서는 지난해 홋카이도의 징용 추모비가 우익들의 반대로 무산되고 지난달 히로시마의 원폭 희생자 추도 나무가 통째로 사라지는 등 혐한 행위가 계속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YTN 최명신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사람을 두 번 죽인다는 말이 있는데요, 이런 경우도 바로 그런 것 같습니다.
일제 강점기 강제로 일본 노동 현장에 끌려가 숨진 조선인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추모비가 철거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도쿄에서 최명신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일본 군마현 '군마의 숲'에 있는 '징용 조선인 추모비'입니다.
일제 강점기 군마현에 강제 징용돼 안타깝게 숨진 조선인을 추모하기 위해 지난 2004년 일본의 시민 단체 회원들이 성금을 모아 세웠습니다.
'조선인에게 큰 손해와 고통을 준 역사의 사실을 깊이 반성해 다시는 잘못을 반복하지 않겠다'는 결의를 담은 내용이 한글과 일본어로 쓰여 있습니다.
숙연해야 할 곳이지만 우익들은 오히려 조롱을 퍼붓습니다.
[인터뷰:우익단체 회원]
"군마에서 사고나 과로사로 고귀한 목숨을 잃은 사람도 적지 않았다'는 식으로 쓰여있지만 목숨을 잃은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제로입니다. 완전히 제로입니다."
군마현 의회는 한술 더 떠 아예 추모비를 철거하자는 결의안까지 내놨습니다.
'추모비를 지키는 모임'이 매년 추모 행사를 열면서 강제 연행에 대한 사죄를 요구하고 일본 정부의 역사 인식을 비판한 것을 문제삼은 겁니다.
[인터뷰:군마현 의원]
"한일 관계가 응어리가 생겨서 서로 혐오감을 느끼는 그런 정치적인 추모비가 되면 곤란하다고 생각합니다."
군마 현의회는 다음 주 본회의에서 추모비 철거 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일본에서는 지난해 홋카이도의 징용 추모비가 우익들의 반대로 무산되고 지난달 히로시마의 원폭 희생자 추도 나무가 통째로 사라지는 등 혐한 행위가 계속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YTN 최명신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