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코네티컷주 초등학교 총기난사 참극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총기 판매점에는 총을 사려는 미국민들이 여전히 몰리고 있습니다.
총기 소유 규제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규제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아 이번에도 규제 강화는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정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 버지니아 주의 한 도시.
코네티컷주 총기 난사 참극에도 불구하고 많은 시민들이 사격 연습에 열중하고 있습니다.
총기 판매점도 총을 사려는 사람들로 북적입니다.
총기 판매상과 총기 구매자들은 대부분 이번 사태가 개인의 책임 문제일 뿐 총기 소유 문제와는 별개라는 반응입니다.
[녹취:닐 크라비츠, 총기 판매상]
"이번 총기 난사 사건은 비극입니다. 그러나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사람이 어머니의 총을 가지고 저지른 흉악한 범죄일 뿐입니다."
[녹취:얼 커티스, 총기 소유자]
"그들이 왜 총기를 난사합니까? 총기 소유 규제가 아니라 정신 건강이 정말 중요한 문제입니다."
지난 7월 모두 12명이 숨진 콜로라도주 극장 총기 난사 사건.
지난 8월 7명의 희생자를 낸 위스콘신 시크교 사원 총기 난사 사건.
이처럼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할 때 마다 미국민과 정치권에서는 총기 규제 강화 여론이 일었습니다.
[녹취:마이클 블룸버그, 뉴욕시장 (지난 7월)]
"이제 규제에 나설 때이며 그것은 미국 대통령이 해야 할 일입니다. 대선 후보들은 국민에게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밝혀야 합니다."
하지만 총기 규제 강화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총기 소유와 스스로를 지킬 권리는 헌법에 보장된 권리임을 내세우는 규제 반대 여론이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또 미국총기협회의 강력한 로비로 규제 강화는 매번 유야무야 됐습니다.
이 때문에 오바마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 표명에도 불구하고 총기 규제 법규가 제정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는 게 미국 언론들의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YTN 정재훈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코네티컷주 초등학교 총기난사 참극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총기 판매점에는 총을 사려는 미국민들이 여전히 몰리고 있습니다.
총기 소유 규제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규제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아 이번에도 규제 강화는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정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 버지니아 주의 한 도시.
코네티컷주 총기 난사 참극에도 불구하고 많은 시민들이 사격 연습에 열중하고 있습니다.
총기 판매점도 총을 사려는 사람들로 북적입니다.
총기 판매상과 총기 구매자들은 대부분 이번 사태가 개인의 책임 문제일 뿐 총기 소유 문제와는 별개라는 반응입니다.
[녹취:닐 크라비츠, 총기 판매상]
"이번 총기 난사 사건은 비극입니다. 그러나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사람이 어머니의 총을 가지고 저지른 흉악한 범죄일 뿐입니다."
[녹취:얼 커티스, 총기 소유자]
"그들이 왜 총기를 난사합니까? 총기 소유 규제가 아니라 정신 건강이 정말 중요한 문제입니다."
지난 7월 모두 12명이 숨진 콜로라도주 극장 총기 난사 사건.
지난 8월 7명의 희생자를 낸 위스콘신 시크교 사원 총기 난사 사건.
이처럼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할 때 마다 미국민과 정치권에서는 총기 규제 강화 여론이 일었습니다.
[녹취:마이클 블룸버그, 뉴욕시장 (지난 7월)]
"이제 규제에 나설 때이며 그것은 미국 대통령이 해야 할 일입니다. 대선 후보들은 국민에게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밝혀야 합니다."
하지만 총기 규제 강화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총기 소유와 스스로를 지킬 권리는 헌법에 보장된 권리임을 내세우는 규제 반대 여론이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또 미국총기협회의 강력한 로비로 규제 강화는 매번 유야무야 됐습니다.
이 때문에 오바마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 표명에도 불구하고 총기 규제 법규가 제정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는 게 미국 언론들의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YTN 정재훈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