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계 인사, 소환 전후 극단적 선택 되풀이

정재계 인사, 소환 전후 극단적 선택 되풀이

2016.08.26. 오후 10:1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이처럼 검찰 수사를 받던 중 스스로 목숨을 거두는 정·재계인사들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일이 되풀이될 때마다 검찰 수사에 대한 심리적 압박감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주된 이유로 꼽히고 있습니다.

조용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4월, 해외 자원개발 비리 수사를 받던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은 영장실질심사 당일 북한산에서 싸늘한 시신으로 발견됐습니다.

그러나 숨지기 직전 언론과 인터뷰에서 현 정부 실세들에게 금품을 제공했다는 내용을 폭로했고 결국 '성완종 게이트'라는 후폭풍을 불러왔습니다.

지난 2014년에는 이른바 '철피아' 비리로 검찰 수사가 본격화되던 때 김광재 전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이 한강에 몸을 던졌습니다.

지난 2009년에는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으로부터 금품을 받은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던 노무현 전 대통령이 사저 뒷산에서 투신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2004년 2월에는 운수업체로부터 1억 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된 안상영 전 부산시장이 구치소에서 목을 맸고, 3월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형 건평 씨에게 인사청탁 대가로 돈을 준 혐의를 받던 남상국 전 대우건설 사장이 한강에 몸을 던졌습니다.

또 4월에는 건강보험공단에 일할 때 납품비리에 연루돼 조사를 받던 박태영 전 전남지사도 스스로 목숨을 끊는 등 비극이 잇따랐습니다.

지난 2003년에는 대북 송금과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대검 중수부의 조사를 받던 정몽헌 전 현대아산 이사회 회장이 현대그룹 사옥에서 투신해 숨졌습니다.

인권위원회의 자료를 보면 지난 2010년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검찰 조사 중 자살한 피의자나 참고인은 모두 79명.

특히 저명인사들의 극단적 선택이 잇따르는 것은 검찰 수사를 받는다는 부담에 그동안 쌓은 사회적 위신이나 명예가 무너질 수 있다는 상실감이 더해지면서 심리적 압박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YTN 조용성[choys@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