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우리나라 선수들이 리우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는 쾌거를 이룩했지만, 태권도의 장래는 그리 밝지 않습니다.
바로 잊을만하면 터지는 승부조작 문제 때문입니다.
지난달 16일, 인천광역시장기 태권도대회 고등부 경기 영상입니다.
파란색 호구를 착용한 A 군과 빨간색 호구를 착용한 B 군. A 군은 뒤돌려차기로 연속 공격을 성했습니다. A 군의 점수는 14점, B 군의 점수는 7점.
A 군의 승리가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갑자기 코치가 흰색 수건을 바닥에 내려놓습니다. 태권도 경기에서 흰 수건을 경기장 안으로 내려놓으면 '기권패'를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승리할 가망이 없으므로 승부를 결정짓는 겁니다. 그러나 이 경기는 예상과는 다르게 이상하게 흘러갔습니다.
14-7로 뒤지고 있던 B 군의 코치가 기권패를 신청한 것이 아니라 이기고 있던 선수의 코치가 기권패를 한 것입니다. 결국 지고 있던 선수가 이기는 상황이 연출되었습니다.
알고 보니, 지고 있던 선수가 집안 형편이 어려워 장학금이 필요한 상황이라 양보하게 한 것입니다. 졸지에 이기고도 패한 선수와 선수의 부모는 황당하다는 반응입니다.
승부조작을 하는 방법은 특정 선수에게 경고를 남발하는 방법이나 기권패를 시키는 등의 수법이 사용됩니다.
대진표를 조작하거나 선수를 매수해 토너먼트 경기에서 선수들이 모조리 기권해서 '기권승'으로 경기 한 번 안 하고 금메달을 목에 건 선수도 있었습니다. 기권한 선수는 코치가 대뜸 "너 기권해라"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말도 안 되는 판정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2013년에는 전국체전 고등부 서울시 대표 선수 선발전에서 승부 조작으로 피해를 본 선수의 아버지가 목숨을 끊었습니다. 이 사건은 선수, 학부모, 협회 임원, 심판위원장 등이 승부조작으로 결론 났습니다.
지난달에도 전국 체전 태권도 세종시 대표 선발전 일반부 경기에서도 승부조작 의혹이 일었습니다. 점수를 따낸 세레모니를 했다고 '경고'를 주는 등 3회전에만 경고를 7회나 남발하면서 의혹이 제기된 겁니다.
지난 2011년에도 제25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전국 체육고등학교 체육대회 태권도 경기에서 태권도부 코치가 자신의 제자에게 기권을 지시해 승부를 조작하다 걸려 징역형을 받기도 했지만, 태권도계의 비리는 계속 터지는 상황.
대학 입시문제로 학부모, 선수, 코치 심판까지 마치 카르텔처럼 연결되어 승부조작을 하면 상대편 선수는 꼼짝없이 당할 수밖에 없습니다.
태권도 협회는 편파판정과 승부조작 의혹을 없애기 위해 전자호구제를 도입했지만, 승부조작은 여전합니다.특히 승부조작 지시를 "오다 내린다"라는 은어로 부르며 특정 선수에게 경고를 하는 방식으로 여전히 승부조작이 가능합니다.
올림픽에 나가 금메달을 목에 거는 자랑스러운 선수들이 있어도, 종주국이라는 자부심이 있어도 태권도 협회가 '승부조작'논란에 휩싸이면 그 자랑스러움도 빛을 잃습니다.
"태권도 성적이 예전 같지 않다"는 자조 섞인 우려만 하지 말고 태권도 협회도 비리와 각종 의혹에서 벗어난다면 지금보다 더 좋은 기록을 낼 수 있을 겁니다.
YTN PLUS 최가영 모바일PD
(weeping07@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