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감염 '지역사회 전파 대유행' 우려

3차 감염 '지역사회 전파 대유행' 우려

2015.06.02. 오후 10:0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정부는 3차 감염자가 추가로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면서도, 지역사회 전파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하지만 메르스가 지역사회로 퍼지는 유행병이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은 여전히 높습니다.

박소정 기자입니다.

[기자]
3차 감염을 막는 데 온 힘을 쏟겠다던 정부의 약속은 무력해졌습니다.

그러자 정부는 3차 감염이라는 말 대신 '의료기관 내 감염'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추가로 3차 감염자가 나올 수 있지만, 지역사회 확산은 아니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감염 경로는 의료기관 내에 국한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관리 가능한 상태로 패턴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주의' 단계로 그대로 유지하면서…."

확진 환자와 전혀 관련 없는, 예상하지 못한 환자가 나와야 지역사회 전파라는 겁니다.

[권준욱, 메르스중앙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
"지역사회라 하면, 일단 의료기관의 설명이 가능한 의료 관련 감염이 아니라 전혀 모르는 소위 어느 날 갑자기 불쑥 나타나는 감염(을 말합니다.)"

질병 통제도 아직 가능하다고 판단해 경계 단계를 '주의'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선을 긋는 정부 발표에도 사회적 불안감은 여전히 사그라지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지금까지 검사 대상은 대부분 확진 환자와 같은 병동에 있었던 사람들에게 국한돼 있었습니다.

따라서, 격리되기 전에 환자를 접촉한 의료진이나 가족, 지인 등을 통해 이미 병원 바깥으로 3차 감염이 퍼져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유지현, 보건의료노조 위원장]
"아무리 '슈퍼 변이'라고 하더라도 한 명이 23명을 감염시킨다고 볼 순 없는 거에요. 이미 (지역사회 전파는) 시간문제 아닌가…."

격리 대상자가 750명을 넘었지만 실제 격리된 사람은 100명에 불과하다는 점도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부분입니다.

정부는 뒤늦게 의료진끼리 확진 환자나 격리 대상자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메르스의 지역사회 전파를 선제적으로 막겠다고 밝혔지만, 선제적이라기엔 이미 늦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YTN 박소정[sojung@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