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점심은 물론 아침과 저녁식사도 가족과 함께 하지 못하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밖에서 식사를 해결하는 외식 비율이 늘기 때문일텐데 영양이 불균형해지기 쉬우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이정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온 가족이 함께 모여 식사를 하는 모습이 점차 줄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7천 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분석해 봤더니, 가족과 함께 아침식사를 하는 사람의 비율이 46%로 전체의 절반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침을 가족이 함께 먹는 비율은 2005년 62.9%에서 2008년 58.6%, 2010년 54.7%, 2012년 51.3%로 줄곧 낮아지다 2013년에 처음으로 50%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저녁 가족동반식사율도 2005년 76%, 2008년 68.8%, 2010년 68%에 이어 2013년 65%로 해마다 줄어들고 있습니다.
도시에 살수록 가족과 함께 식사하지 못하는 비율은 더 높았습니다.
지난 2013년을 기준으로 도시민들의 아침·점심·저녁 가족동반식사율은 각각 44.4%, 14.3%, 63.8%로, 읍면 지역의 55%, 23.5%, 67%보다 눈에 띄게 낮았습니다.
연령대별로는 점심 식사는 보육시설이나 학교에서 낮 시간을 보내는 3∼18살까지의 어린이가 가족동반식사율이 가장 낮았습니다.
아침이나 저녁 식사는 20대가 가족과 함께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생활 패턴의 변화로 식사를 밖에서 해결하는 외식 비율이 느는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오경원 과장, 질병관리본부 영양조사과]
"(가족들과 함께 먹으면) 조금은 다양하게 먹을 것이고 그 다음에 식사의 질은 좀 좋지 않을까..."
질병관리본부는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따로 조사하지 않았지만, 혼자 사는 가구가 증가하는 것과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YTN 이정미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점심은 물론 아침과 저녁식사도 가족과 함께 하지 못하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밖에서 식사를 해결하는 외식 비율이 늘기 때문일텐데 영양이 불균형해지기 쉬우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이정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온 가족이 함께 모여 식사를 하는 모습이 점차 줄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7천 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분석해 봤더니, 가족과 함께 아침식사를 하는 사람의 비율이 46%로 전체의 절반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침을 가족이 함께 먹는 비율은 2005년 62.9%에서 2008년 58.6%, 2010년 54.7%, 2012년 51.3%로 줄곧 낮아지다 2013년에 처음으로 50%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저녁 가족동반식사율도 2005년 76%, 2008년 68.8%, 2010년 68%에 이어 2013년 65%로 해마다 줄어들고 있습니다.
도시에 살수록 가족과 함께 식사하지 못하는 비율은 더 높았습니다.
지난 2013년을 기준으로 도시민들의 아침·점심·저녁 가족동반식사율은 각각 44.4%, 14.3%, 63.8%로, 읍면 지역의 55%, 23.5%, 67%보다 눈에 띄게 낮았습니다.
연령대별로는 점심 식사는 보육시설이나 학교에서 낮 시간을 보내는 3∼18살까지의 어린이가 가족동반식사율이 가장 낮았습니다.
아침이나 저녁 식사는 20대가 가족과 함께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생활 패턴의 변화로 식사를 밖에서 해결하는 외식 비율이 느는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오경원 과장, 질병관리본부 영양조사과]
"(가족들과 함께 먹으면) 조금은 다양하게 먹을 것이고 그 다음에 식사의 질은 좀 좋지 않을까..."
질병관리본부는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따로 조사하지 않았지만, 혼자 사는 가구가 증가하는 것과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YTN 이정미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