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석촌지하차도에서 발견한 싱크홀의 크기도 크기지만, 문제는 또 구멍이 뚫릴 가능성이 있는, 이른바 '취약 지반'이 무려 2km를 넘는다는 겁니다.
주민들의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세호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5일과 13일 석촌호수 지하차도에서 발견된 초대형 싱크홀이 있는 곳은 흙과 모래로 이뤄진 충적층입니다.
서울시는 지하철 공사 9호선 공사 구간에서 사용된 쉴드 공법이 싱크홀의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쉴드 공법은 원통형 쉴드를 회전시켜 흙과 바위를 부수면서 수평으로 굴을 파들어가는 공법입니다.
서울시는 쉴드 공법이 충적층에서 지반침하를 일으킬 위험이 큰데, 시공사에서 쉴드 공법의 취약성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박창근, 관동대 토목과 교수]
"지하철 공사현장에서 품질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서 붕락 사고가 발생했다라고 하는 것이 합리적 추론으로 결론내렸습니다."
지하철 9호선 3단계 공사 구간 9.17km 가운데 충적층이 있는 구간은 2.98km로, 완공된 8백여 미터 구간을 제외하고도 2km가 넘는 구간이 충적층으로 남아있습니다.
충적층과 같은 취약한 지반의 범위가 상당히 넒은 만큼 싱크홀이 추가로 발생한 가능성이 여전히 큽니다.
더구나 석촌호수지하차도에서 지난 13일 발견된싱크홀은 5일 발견된 싱크홀의 10배가 넘는 규모인데, 굴착 작업을 하던 중 우연히 발견한 겁니다.
싱크홀 주변에 있는 주민들은 언제 이같은 사고가 날지 불안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인터뷰:박혜수, 서울시 석촌]
"구멍이 생기고 있잖아요.계속 무너지면 저희 집까지 무너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어요."
[인터뷰:이태혁, 서울시 석촌]
"뭐든지 오래되면 문제가 생기잖아요. 정부가 자주 들여다 보고 해줘야 하는데..."
서울시는 지하철 9호선 공사 구간에 있는 지반에 대한 정밀조사를 통해 필요하다면 충적층보다 더 깊은 암반층을 뚫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YTN 김세호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석촌지하차도에서 발견한 싱크홀의 크기도 크기지만, 문제는 또 구멍이 뚫릴 가능성이 있는, 이른바 '취약 지반'이 무려 2km를 넘는다는 겁니다.
주민들의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세호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5일과 13일 석촌호수 지하차도에서 발견된 초대형 싱크홀이 있는 곳은 흙과 모래로 이뤄진 충적층입니다.
서울시는 지하철 공사 9호선 공사 구간에서 사용된 쉴드 공법이 싱크홀의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쉴드 공법은 원통형 쉴드를 회전시켜 흙과 바위를 부수면서 수평으로 굴을 파들어가는 공법입니다.
서울시는 쉴드 공법이 충적층에서 지반침하를 일으킬 위험이 큰데, 시공사에서 쉴드 공법의 취약성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박창근, 관동대 토목과 교수]
"지하철 공사현장에서 품질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서 붕락 사고가 발생했다라고 하는 것이 합리적 추론으로 결론내렸습니다."
지하철 9호선 3단계 공사 구간 9.17km 가운데 충적층이 있는 구간은 2.98km로, 완공된 8백여 미터 구간을 제외하고도 2km가 넘는 구간이 충적층으로 남아있습니다.
충적층과 같은 취약한 지반의 범위가 상당히 넒은 만큼 싱크홀이 추가로 발생한 가능성이 여전히 큽니다.
더구나 석촌호수지하차도에서 지난 13일 발견된싱크홀은 5일 발견된 싱크홀의 10배가 넘는 규모인데, 굴착 작업을 하던 중 우연히 발견한 겁니다.
싱크홀 주변에 있는 주민들은 언제 이같은 사고가 날지 불안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인터뷰:박혜수, 서울시 석촌]
"구멍이 생기고 있잖아요.계속 무너지면 저희 집까지 무너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어요."
[인터뷰:이태혁, 서울시 석촌]
"뭐든지 오래되면 문제가 생기잖아요. 정부가 자주 들여다 보고 해줘야 하는데..."
서울시는 지하철 9호선 공사 구간에 있는 지반에 대한 정밀조사를 통해 필요하다면 충적층보다 더 깊은 암반층을 뚫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YTN 김세호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