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여름철 아이들의 놀이터가 되는 물놀이형 분수가 해마다 늘어나고 있지만, 수질관리가 부실한 곳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경부가 지난해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공공 분수 시설 800여 개의 수질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23%가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장균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거나 수소이온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한 곳이 40곳, 수질 검사 횟수가 부족한 곳은 105곳, 아예 검사하지 않은 곳도 31곳에 이르렀습니다.
특히 민간시설에서 설치한 분수는 권고 수준의 검사 조차 받지 않기 때문에 수질 관리 상태가 더욱 나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환경부는 앞으로 공공 분수뿐 아니라 민간시설 분수도 정기 수질검사를 의무화하는 법률 개정안을 마련해 오는 12월 국회에 제출한다는 방침입니다.
박소정 [sojung@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환경부가 지난해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공공 분수 시설 800여 개의 수질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23%가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장균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거나 수소이온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한 곳이 40곳, 수질 검사 횟수가 부족한 곳은 105곳, 아예 검사하지 않은 곳도 31곳에 이르렀습니다.
특히 민간시설에서 설치한 분수는 권고 수준의 검사 조차 받지 않기 때문에 수질 관리 상태가 더욱 나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환경부는 앞으로 공공 분수뿐 아니라 민간시설 분수도 정기 수질검사를 의무화하는 법률 개정안을 마련해 오는 12월 국회에 제출한다는 방침입니다.
박소정 [sojung@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