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국내 연구진이 한우의 유전체를 완전 해독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한우 맛의 차이가 과학적으로 입증된 셈이고 향후 산업적인 이용에도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김학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립축산과학원이 확인한 한우 유전체는 모두 26억개.
6개월간 113번에 걸친 해독을 통해 99.9% 이상 완전 해독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미국 연구진이 헤어포드 종 소의 유전체를 완전 해독한데 이어 세계 3번째 입니다.
이번에 완전 해독된 26억개의 한우 유전체입니다.
지난해 미국에서 해독된 헤어포드 소의 유전체와 600만 개 가량이 다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 23만 개 이상의 유전체 구조가 달라 이때문에 한우의 맛과 품질이 미국산 쇠고기와 다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연구결과 소의 유전체는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 2만 2,000개의 유전자로 이뤄져 있고 유전체 서열이 사람과 80% 이상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전체 구조가 쥐와 개 보다 사람에게 더 가까운 셈입니다.
한우 유전체의 해독은 앞으로 산업적인 활용 뿐만 아니라 인간 건강의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김태헌, 농진청 축산과학원 동물유전체과장]
"빨리 자라는 소가 어떤 유전자들이 있는지, 고기맛이 좋은 소의 유전자 구조가 어떻게 돼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산업적으로 중요하게 활용될 것입니다."
한우의 유전체 해독 성공으로 다양한 기능의 맞춤형 한우 생산도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YTN 김학무[mookim@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내 연구진이 한우의 유전체를 완전 해독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한우 맛의 차이가 과학적으로 입증된 셈이고 향후 산업적인 이용에도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김학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립축산과학원이 확인한 한우 유전체는 모두 26억개.
6개월간 113번에 걸친 해독을 통해 99.9% 이상 완전 해독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미국 연구진이 헤어포드 종 소의 유전체를 완전 해독한데 이어 세계 3번째 입니다.
이번에 완전 해독된 26억개의 한우 유전체입니다.
지난해 미국에서 해독된 헤어포드 소의 유전체와 600만 개 가량이 다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 23만 개 이상의 유전체 구조가 달라 이때문에 한우의 맛과 품질이 미국산 쇠고기와 다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연구결과 소의 유전체는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 2만 2,000개의 유전자로 이뤄져 있고 유전체 서열이 사람과 80% 이상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전체 구조가 쥐와 개 보다 사람에게 더 가까운 셈입니다.
한우 유전체의 해독은 앞으로 산업적인 활용 뿐만 아니라 인간 건강의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김태헌, 농진청 축산과학원 동물유전체과장]
"빨리 자라는 소가 어떤 유전자들이 있는지, 고기맛이 좋은 소의 유전자 구조가 어떻게 돼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산업적으로 중요하게 활용될 것입니다."
한우의 유전체 해독 성공으로 다양한 기능의 맞춤형 한우 생산도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YTN 김학무[mookim@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