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오늘 광주에서는 5·18 민주화운동 제29주년 기념식이 열립니다.
어제는 전야제 등 다채로운 기념행사와 체험행사가 열렸습니다.
김범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1980년 신군부의 폭압에 맞서 일어선 광주시민들이 마지막까지 계엄군과 대치했던 옛 전남도청 앞 5·18 민주광장입니다.
5·18 민주화운동 29주년을 맞아 열린 전야제에서는 오월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대동한마당이 펼쳐졌습니다.
[인터뷰:김희승, 광주 치평중학교 3학년]
"이런 연극을 보면서 다시 5·18에 대해 생각해 보게 돼 좋았고 앞으로는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이에 앞서 5·18 사적지 곳곳에서는 민주화를 외치다 스러진 29년 전 당시를 다시 체험해 보는 행사가 잇따랐습니다.
[인터뷰:이수하, 5·18 역사 체험 참가자]
"80년도에 사람들이 얼마나 억울하게 계엄군에게 포섭당하고 아픔을 당했는지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어서 정말 신선한 체첨이었구요, 그리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29년 전 5·18 민주화운동 때 시민들이 서로 주먹밥을 나눴던 체험행사도 펼쳐졌습니다.
비가 오락가락 하는 궂은 날씨에도 국립 5·18 민주묘지에는 오월 영령들의 숭고한 뜻을 기리는 참배행렬이 하루 종일 이어졌습니다.
5·18 정신계승 대구·경북 순례단 50여 명 등 오월의 넋들을 위로하는 데는 지역과 남녀노소가 따로 없었습니다.
[인터뷰:김경아, 경남 양산시 교동]
"'화려한 휴가' 그 영화를 애랑, 큰 애랑 같이 본 적이 있는데 좀 그 때 설명을 잘 못했는데 여기 다녀 가 보면..."
오월 영령들이 편히 쉬길 염원하는 살풀이굿도 올려졌습니다.
오늘은 정부 주관 공식 기념식이 열리는 등 5·18 추모 분위기가 절정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YTN 김범환[kimbh@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오늘 광주에서는 5·18 민주화운동 제29주년 기념식이 열립니다.
어제는 전야제 등 다채로운 기념행사와 체험행사가 열렸습니다.
김범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1980년 신군부의 폭압에 맞서 일어선 광주시민들이 마지막까지 계엄군과 대치했던 옛 전남도청 앞 5·18 민주광장입니다.
5·18 민주화운동 29주년을 맞아 열린 전야제에서는 오월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대동한마당이 펼쳐졌습니다.
[인터뷰:김희승, 광주 치평중학교 3학년]
"이런 연극을 보면서 다시 5·18에 대해 생각해 보게 돼 좋았고 앞으로는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이에 앞서 5·18 사적지 곳곳에서는 민주화를 외치다 스러진 29년 전 당시를 다시 체험해 보는 행사가 잇따랐습니다.
[인터뷰:이수하, 5·18 역사 체험 참가자]
"80년도에 사람들이 얼마나 억울하게 계엄군에게 포섭당하고 아픔을 당했는지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어서 정말 신선한 체첨이었구요, 그리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29년 전 5·18 민주화운동 때 시민들이 서로 주먹밥을 나눴던 체험행사도 펼쳐졌습니다.
비가 오락가락 하는 궂은 날씨에도 국립 5·18 민주묘지에는 오월 영령들의 숭고한 뜻을 기리는 참배행렬이 하루 종일 이어졌습니다.
5·18 정신계승 대구·경북 순례단 50여 명 등 오월의 넋들을 위로하는 데는 지역과 남녀노소가 따로 없었습니다.
[인터뷰:김경아, 경남 양산시 교동]
"'화려한 휴가' 그 영화를 애랑, 큰 애랑 같이 본 적이 있는데 좀 그 때 설명을 잘 못했는데 여기 다녀 가 보면..."
오월 영령들이 편히 쉬길 염원하는 살풀이굿도 올려졌습니다.
오늘은 정부 주관 공식 기념식이 열리는 등 5·18 추모 분위기가 절정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YTN 김범환[kimbh@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