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부터 최순실 게이트까지...'불통'이 불러온 파국

세월호부터 최순실 게이트까지...'불통'이 불러온 파국

2017.01.01. 오전 05:4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이른바 최순실 국정농단으로 파국을 맞게 된 박근혜 정권의 가장 큰 문제로 꼽히는 것은 불통이었습니다.

세월호 참사 때부터 불통 문제가 표면에 드러났지만 어떤 개선도 이뤄지지 않았죠.

새 정부의 과제로 소통 회복이 제시되는 이유입니다.

홍상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2014년 10월 29일 국회 본청 앞은 세월호 유가족들의 절규로 가득 찼습니다.

박 대통령은 시정연설을 위해 국회로 들어가는 동안 바로 앞의 유가족을 두고 단 한 번도 눈길을 주지 않았습니다.

시정연설이 끝나고 나올 때도 대통령은 끝끝내 귀를 닫았습니다.

자식을 허망하게 잃은 이들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말입니다.

대통령이 듣지 않은 것은 세월호 유가족의 절규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의 우려 속에서 강행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의 경북 성주 배치가 최종 결정되기까지 성주 지역주민은 물론 국민 대다수가 강하게 반발했지만 역시 통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불통이 불러온 분노.

이른바 12.28 한일 위안부 합의.

생존자 39명만이 남아있는 위안부 할머니 피해 당사자의 동의 없이 일본 정부로부터 10억 엔을 받기로 하고 일방적으로 결정한 겁니다.

[이옥선 할머니 : 원래는 정부에서 우린 모른다. 가라. 피해자한테 가라. 그래야 원칙이고 옳지. 돈 받아먹고 할머니들 팔아먹은 거지.]

피해자가 철저히 배제된 합의로 국민의 공분을 샀습니다.

국민과 소통하지 않았던 대통령은 국정을 운영하는 데 가장 긴밀히 접촉해야 했던 (국무위원)과의 소통도 스스로 차단했습니다.

부처 장관 18명은 물론 정무수석 마저 지난 임기 동안 대통령을 만나 대면보고 하지 못했고,

[조윤선 / 문체부 장관 : 독대한 적은 없습니다. 전화 통화를 한 적은 있어도 독대를 한 적은 없는 것으로….]

국무위원과의 대면보고도 기피하는 대통령.

과연 국정 운영에는 문제가 없는 걸까.

[송민순 / 전 외교통상부 장관 : 장관 또 수석비서관 이런 보좌관들과 충분한 대화를 갖는 것이 국정운영의 기본이고요. 그렇게 해야 의사 결정과정이나 신속대응 하는데 있어서 탄력성이 생깁니다. 외교안보사항을 한 번 보십시오. 한번 결정하면 돌이킬 수 가 없습니다. 이건 굉장히 신중하게 결정해야 되거든요.]

서울 광화문광장에 촛불이 켜졌습니다.

2만개로 시작한 촛불은 광화문을 채워나갔고, 청와대 100미터 앞까지 거대한 물결을 이루며 다가섰습니다.

광장으로 나온 국민들은 불통(不通)의 상징인 차벽을 꽃 벽으로 바꿔 놓고 대통령과의 마지막 소통을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탄핵심판을 앞둔 대통령은 여전히 국민의 외침은 외면한 채 자신만의 생각과 논리로 맞서고 있습니다.

YTN홍상희[san@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