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신지호 / 前 새누리당 의원, 여상원 / 변호사·前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 이종훈 / 정치평론가, 김복준 / 한국범죄학연구소 연구위원
[반기문 / UN 사무총장 : 한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 이번 일을 깊이 우려하면서 면밀히 지켜봐 왔습니다. 한국민들이 현 상황에 좌절감을 느끼고 몹시 화가 나 있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내년 1월 1일이 되면 나와 내 가족, 내 조국의 미래에 대해 생각하고 내가 조국을 위해 봉사할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할 것입니다.]
[앵커]
지금 이 내용, 제가 반복하지 않겠습니다. 어떻게 보셨습니까?
[인터뷰]
그동안 국내에 와서도 계속 발언하신 내용의 연장선에서 나온 발언이기는 합니다.
그러니까 뭔가 퇴임 이후에, UN사무총장 퇴임 이후에 모국을 위해서 역할을 찾아보겠다라는 얘기를 했는데. 잊을 만하면 이 발언이 한 번씩 나와요. 이번에도 여지 없이 나온 거죠.
그런데 이번에 특히 관심을 갖는 이유는 임박하셨단 말이에요, 퇴임이.
[앵커]
그리고 최순실 게이트 이후에 처음이죠.
[인터뷰]
최순실 게이트 이후에 그 사건에 대한 직접적인 발언은 아니지만 간접적으로 한국 국민들이 굉장히 화가 나 있고 좌절감을 느끼고 있고 이 얘기를 한단 말이에요.
그와 관련해서 본인의 역할을 찾겠다고 얘기했는데 그건 누가 생각하더라도 대통령말고 없는 거죠.
[인터뷰]
그러니까 한국 상황을 깊이 우려한다는 거죠. 만일 본인이 한국에서 어떤 정치적인 역할을 생각 안 한다면 지금 인터뷰에서 저런 말을 하실 필요는 없지 않았을까.
한국 상황을 깊이 우려하고 내가 한국에서 어떤 정치적인 역할을 생각한다, 이건 지금까지 반기문 총장이 항상 해 왔던 말이라 특별히 새롭지는 않은데 특히 최순실 사건 이후에 저런 말을 한 번 더 하니까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지 별로 새로운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인터뷰]
그런데 JP 말에 의하면 본인도 JP 본인도 여기 구렁이가 여러 마리 들어있는데 반기문 그 사람도 구렁이가 여러 마리 들어 있는 사람 같다. 그런데 구렁이가 여러 마리 들어있는 분이 저 정도 표현했다는 것은 마음이 굉장히 우리 같은 보통 평범한 사람들의 직설화법이에요.
[앵커]
그런데 문제는 뭐냐하면 반기문 사무총장의 지지율이 대선 후보의 지지율이 지금 최순실 게이트 이후에 떨어지고 있거든요. 화면을 잠깐 보여주시겠어요.
여기 보면 지금 원래 1위가 반기문, 2위가 문재인이었는데 지금 바뀌었어요. 물론 오차범위내라고 볼 수 있지만. 이런 현상은 어떻게 봐야 돼요?
[인터뷰]
그러니까 지금 반기문 총장은 많은 국민들이 친박의 주자였던 그걸 아직 머리에서 지우지를 못하는 거죠.
그런데 반기문 총장이 들어오면 어떻게 갈지 지금 우리 신 의원님 말씀대로 하면 절대로 친박으로는 안 간다고 하는데 제 생각에도 지금 이 상태에서 친박 간다는 것은 그냥 자살골을 넣겠다는 것이니까 안 가는 것은 맞는데 그렇다고 하더라도 국민들은 친박의 등에 업혀 온다는 이미지를 그동안 줬지 않습니까?
최순실 사태 전까지. 그러니까 그 여론지지도가 반영된 것이다.
[앵커]
그런데 만일 그렇다면 정치인의 이미지가 그렇게 쉽게 바뀌지는 않거든요.
[인터뷰]
그렇죠. 그게 고민인 겁니다.
[앵커]
그게 문제 아니에요, 그렇다면?
[인터뷰]
그러니까 내년 1월 1일 들어와서. 어떻게 정치인은 중요한 게 입을 어떻게 놀리는가. 자기 발이 어디로 향하는가. 이게 입과 발이 굉장히 중요한 것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이분이 친박 근처에... 그러니까 우리 지금 여 변호사님 말씀하신 것처럼 지난 번에 박근혜 대통령과 되게 친한 것처럼, 그게 오히려 자기가 여론조사 1위 하는 데 도움이 됐다면 그게 지금 오히려 그냥 마이너스로 작용하고 있으니까 아마 내년 1월에 귀국하면 친박 근처로는 저는 안 갈 거라고 봐요.
[인터뷰]
벌써 이야기했잖아요. 대단히 화가 나 있다고, 한국 국민들이. 누구한테 화가 나 있다는 겁니까?
[인터뷰]
가장 가능성이 있는 건 반안김연대죠. 반기문, 안철수 거기에 김무성까지 포함한 반안김 연대가 지금.
[앵커]
저는 지금 뭘 반대하는 것인가 했는데 그게 아니라 반기문의 반, 안철수의 안, 김무성의 김.
[인터뷰]
그렇죠. 반안김은 그동안 계속 얘기가 나왔었잖아요. 그럴 가능성이 있다라는 얘기가 있었는데 거기에 김무성 전 대표도 반기문 사무총장과 연대할 가능성을 피력한 상황이기 때문에 그런 가능성, 그래서 제3지대에서 보수, 새로운 정당을 만든다고 한다면 이야기는 또 달라지는 거죠.
[앵커]
하지만 정치는 분명한 것은 생물입니다. 이건 뭐 제가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이 한 얘기인데요. 정치가 생물인 만큼 정치인들의 행보도 우리가 지금 미리 예측하기는 힘든데요.
그런 의미에서 12월, 1월에 우리나라 정치권이 어떻게 변할지 지켜보겠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반기문 / UN 사무총장 : 한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 이번 일을 깊이 우려하면서 면밀히 지켜봐 왔습니다. 한국민들이 현 상황에 좌절감을 느끼고 몹시 화가 나 있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내년 1월 1일이 되면 나와 내 가족, 내 조국의 미래에 대해 생각하고 내가 조국을 위해 봉사할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할 것입니다.]
[앵커]
지금 이 내용, 제가 반복하지 않겠습니다. 어떻게 보셨습니까?
[인터뷰]
그동안 국내에 와서도 계속 발언하신 내용의 연장선에서 나온 발언이기는 합니다.
그러니까 뭔가 퇴임 이후에, UN사무총장 퇴임 이후에 모국을 위해서 역할을 찾아보겠다라는 얘기를 했는데. 잊을 만하면 이 발언이 한 번씩 나와요. 이번에도 여지 없이 나온 거죠.
그런데 이번에 특히 관심을 갖는 이유는 임박하셨단 말이에요, 퇴임이.
[앵커]
그리고 최순실 게이트 이후에 처음이죠.
[인터뷰]
최순실 게이트 이후에 그 사건에 대한 직접적인 발언은 아니지만 간접적으로 한국 국민들이 굉장히 화가 나 있고 좌절감을 느끼고 있고 이 얘기를 한단 말이에요.
그와 관련해서 본인의 역할을 찾겠다고 얘기했는데 그건 누가 생각하더라도 대통령말고 없는 거죠.
[인터뷰]
그러니까 한국 상황을 깊이 우려한다는 거죠. 만일 본인이 한국에서 어떤 정치적인 역할을 생각 안 한다면 지금 인터뷰에서 저런 말을 하실 필요는 없지 않았을까.
한국 상황을 깊이 우려하고 내가 한국에서 어떤 정치적인 역할을 생각한다, 이건 지금까지 반기문 총장이 항상 해 왔던 말이라 특별히 새롭지는 않은데 특히 최순실 사건 이후에 저런 말을 한 번 더 하니까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지 별로 새로운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인터뷰]
그런데 JP 말에 의하면 본인도 JP 본인도 여기 구렁이가 여러 마리 들어있는데 반기문 그 사람도 구렁이가 여러 마리 들어 있는 사람 같다. 그런데 구렁이가 여러 마리 들어있는 분이 저 정도 표현했다는 것은 마음이 굉장히 우리 같은 보통 평범한 사람들의 직설화법이에요.
[앵커]
그런데 문제는 뭐냐하면 반기문 사무총장의 지지율이 대선 후보의 지지율이 지금 최순실 게이트 이후에 떨어지고 있거든요. 화면을 잠깐 보여주시겠어요.
여기 보면 지금 원래 1위가 반기문, 2위가 문재인이었는데 지금 바뀌었어요. 물론 오차범위내라고 볼 수 있지만. 이런 현상은 어떻게 봐야 돼요?
[인터뷰]
그러니까 지금 반기문 총장은 많은 국민들이 친박의 주자였던 그걸 아직 머리에서 지우지를 못하는 거죠.
그런데 반기문 총장이 들어오면 어떻게 갈지 지금 우리 신 의원님 말씀대로 하면 절대로 친박으로는 안 간다고 하는데 제 생각에도 지금 이 상태에서 친박 간다는 것은 그냥 자살골을 넣겠다는 것이니까 안 가는 것은 맞는데 그렇다고 하더라도 국민들은 친박의 등에 업혀 온다는 이미지를 그동안 줬지 않습니까?
최순실 사태 전까지. 그러니까 그 여론지지도가 반영된 것이다.
[앵커]
그런데 만일 그렇다면 정치인의 이미지가 그렇게 쉽게 바뀌지는 않거든요.
[인터뷰]
그렇죠. 그게 고민인 겁니다.
[앵커]
그게 문제 아니에요, 그렇다면?
[인터뷰]
그러니까 내년 1월 1일 들어와서. 어떻게 정치인은 중요한 게 입을 어떻게 놀리는가. 자기 발이 어디로 향하는가. 이게 입과 발이 굉장히 중요한 것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이분이 친박 근처에... 그러니까 우리 지금 여 변호사님 말씀하신 것처럼 지난 번에 박근혜 대통령과 되게 친한 것처럼, 그게 오히려 자기가 여론조사 1위 하는 데 도움이 됐다면 그게 지금 오히려 그냥 마이너스로 작용하고 있으니까 아마 내년 1월에 귀국하면 친박 근처로는 저는 안 갈 거라고 봐요.
[인터뷰]
벌써 이야기했잖아요. 대단히 화가 나 있다고, 한국 국민들이. 누구한테 화가 나 있다는 겁니까?
[인터뷰]
가장 가능성이 있는 건 반안김연대죠. 반기문, 안철수 거기에 김무성까지 포함한 반안김 연대가 지금.
[앵커]
저는 지금 뭘 반대하는 것인가 했는데 그게 아니라 반기문의 반, 안철수의 안, 김무성의 김.
[인터뷰]
그렇죠. 반안김은 그동안 계속 얘기가 나왔었잖아요. 그럴 가능성이 있다라는 얘기가 있었는데 거기에 김무성 전 대표도 반기문 사무총장과 연대할 가능성을 피력한 상황이기 때문에 그런 가능성, 그래서 제3지대에서 보수, 새로운 정당을 만든다고 한다면 이야기는 또 달라지는 거죠.
[앵커]
하지만 정치는 분명한 것은 생물입니다. 이건 뭐 제가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이 한 얘기인데요. 정치가 생물인 만큼 정치인들의 행보도 우리가 지금 미리 예측하기는 힘든데요.
그런 의미에서 12월, 1월에 우리나라 정치권이 어떻게 변할지 지켜보겠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