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전두환 정권 호헌지지 요청 거절

美, 전두환 정권 호헌지지 요청 거절

2016.04.17. 오후 9:5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1985년 당시 전두환 정권이 대통령 간선제와 7년 단임제를 골자로 한 5공화국 헌법에 대한 지지를 미국에 요청했다가 거절 당한 사실도 뒤늦게 밝혀졌습니다.

또, 김대중 전 대통령의 귀국 문제를 놓고 미 행정부와 물밑 접촉을 이어간 사실은 물론,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이 당시 정보수집 관련자로 이름을 올려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세호 기자입니다.

[기자]
이번에 공개된 외교 문서에는 전두환 정권이 지난 1985년 4월 로널드 레이건 미 대통령에게 한국 정부의 호헌을 공개 지지해줄 것을 요구한 사실도 담겨 있습니다.

당시 신민당이 제1야당으로 급부상하면서 개헌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질 때였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개헌을 언급하면 내정간섭을 한다는 인상을 줄 우려가 있다며 반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전 전대통령은 이를 무시하고 1987년 4월 호헌 조치에 나섰지만 반대에 부딪혔고, 결국 같은 해 6.29선언이 발표되면서 직선제 개헌이 이뤄졌습니다.

외교문서에는 또, 당시 박동진 외무장관과 면담한 글라이스틴 주한 미 대사가 다른 대안이 없다며, 미국이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유혈 진압한 전두환 정권을 인정한 사실도 들어있습니다.

이어 1982년 망명길에 올랐던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85년 2월 총선 직전 귀국을 선언하자 당시 한미 정부가 김 전 대통령의 사면과 유럽 방문 허가 등을 조율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귀국이 총선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미 정부와 중재에 나선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밖에 당시 참사관 신분으로 하버드 대학에 연수 중이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미국에 망명 중이던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보수집 관련자로 등장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YTN 김세호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