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여야가 정부의 추경안 처리와 국정원 해킹 의혹 조사 방식을 놓고 이틀째 협상을 벌였지만 합의에는 실패했습니다.
내일 다시 협상을 이어갈 예정인데 여당이 추경 처리 시한으로 내세운 24일을 하루 앞두고 극적인 타결이 이뤄질지 주목됩니다.
안윤학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여야는 하루 종일 물밑접촉과 회동을 이어가며 타결을 시도했습니다.
하지만 메르스 추경안과 국정원 해킹 의혹 모두 막판 쟁점을 놓고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습니다.
추경안은 법인세 문제가 걸림돌이 됐습니다.
추경안에 세입 결손을 메우기 위한 세입경정 예산 5조 6천억 원이 포함된 것을 놓고,
야당은 해마다 세수 부족 사태가 반복되는 만큼 재발 방지를 위해서라도 법인세를 정상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춘석, 새정치민주연합 원내수석부대표]
"법인세 인상이란 용어가 들어가야 한다는 게 우리 입장입니다. 본회의 일정에 대해서는 전혀 합의해 준 바가 없습니다."
반면, 여당은 법인세를 올리면 기업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며 이 부분 만큼은 양보할 수 없다고 맞섰습니다.
[조원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
"추경 부분도 어느 정도 야당이 주는 숙제를 내가 지금 열심히 풀고 있습니다. 오늘 하루 종일 숙제 풀고, 또 숙제를 가져가서…."
국정원 해킹 의혹과 관련해선 청문회 개최 여부를 놓고 맞섰습니다.
야당이 자료 제출과 증인 출석을 의무로 규정한 비공개 청문회부터 열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여당은 국정원 현장 조사 뒤에 청문회 개최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양측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가운데 다른 쟁점들에 대해서는 이견을 많이 좁혀온 만큼 막판 타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YTN 안윤학[yhahn@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여야가 정부의 추경안 처리와 국정원 해킹 의혹 조사 방식을 놓고 이틀째 협상을 벌였지만 합의에는 실패했습니다.
내일 다시 협상을 이어갈 예정인데 여당이 추경 처리 시한으로 내세운 24일을 하루 앞두고 극적인 타결이 이뤄질지 주목됩니다.
안윤학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여야는 하루 종일 물밑접촉과 회동을 이어가며 타결을 시도했습니다.
하지만 메르스 추경안과 국정원 해킹 의혹 모두 막판 쟁점을 놓고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습니다.
추경안은 법인세 문제가 걸림돌이 됐습니다.
추경안에 세입 결손을 메우기 위한 세입경정 예산 5조 6천억 원이 포함된 것을 놓고,
야당은 해마다 세수 부족 사태가 반복되는 만큼 재발 방지를 위해서라도 법인세를 정상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춘석, 새정치민주연합 원내수석부대표]
"법인세 인상이란 용어가 들어가야 한다는 게 우리 입장입니다. 본회의 일정에 대해서는 전혀 합의해 준 바가 없습니다."
반면, 여당은 법인세를 올리면 기업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며 이 부분 만큼은 양보할 수 없다고 맞섰습니다.
[조원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
"추경 부분도 어느 정도 야당이 주는 숙제를 내가 지금 열심히 풀고 있습니다. 오늘 하루 종일 숙제 풀고, 또 숙제를 가져가서…."
국정원 해킹 의혹과 관련해선 청문회 개최 여부를 놓고 맞섰습니다.
야당이 자료 제출과 증인 출석을 의무로 규정한 비공개 청문회부터 열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여당은 국정원 현장 조사 뒤에 청문회 개최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양측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가운데 다른 쟁점들에 대해서는 이견을 많이 좁혀온 만큼 막판 타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YTN 안윤학[yhahn@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