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여야 대표와 원내대표가 참석하는 '2+2'(투 플러스 투) 연석회의가 내일부터 가동돼 정치권 현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공무원연금 개혁과 국책 사업 비리 의혹을 조사하는 국정조사 등 정치 현안에 대한 여야 협상이 본격화되는 겁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웅래 기자!
내일부터 여야 연석회의가 시작된다고요?
[기자]
오전에 진행된 여야 원내대표 주례회동에서 나온 소식입니다.
여야는 내일부터 양당 대표와 원내대표 연석회의를 가동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 회의체는 공무원연금 개혁과 국책 사업 비리 의혹, 이른바 '사자방'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 실시 등 여야 간 쟁점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양당의 최고 지도부가 한 자리에 모여 정치권 현안을 논의하는 만큼 연말 정국의 해법이 찾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공무원연금 개혁과 관련해서는 이해당사자인 공무원을 어떤 논의 기구에 어떤 식으로 참여시킬지가 쟁점이고, 국정조사는 조사 대상과 범위를 놓고 여야가 이견을 보이고 있습니다.
연말 정국을 강타한 정윤회 사건에 대한 논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음 주 월요일부터 열리는 임시국회에서 이 문제에 대한 긴급현안질문까지 진행되는 만큼 정윤회 사건을 국회 차원에서 다룰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입니다.
하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는 여야 간의 이견이 워낙 크기 때문에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앵커]
잠시 뒤에 정기국회 마지막 본회의가 열리는데, 오늘 어떤 법안들이 처리됩니까?
[기자]
한 시간 뒤부터 진행될 본회의에서는 법안 130여 건이 처리될 예정입니다.
관심 법안들을 정리해보면, 우선 이른바 '송파 세모녀법'으로 불리는 복지법 개정안입니다.
기초생활수급과 긴급 복지 지원 대상을 대폭 늘리고, 복지 서비스 대상을 적극적으로 발굴하도록 하는 게 주요 내용입니다.
이밖에도 공직자의 취업 제한을 강화하는 이른바 관피아 방지법과 수능 출제 오류로 피해를 본 학생들을 구제하기 위한 특별법도 오늘 처리됩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김웅래[woongrae@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여야 대표와 원내대표가 참석하는 '2+2'(투 플러스 투) 연석회의가 내일부터 가동돼 정치권 현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공무원연금 개혁과 국책 사업 비리 의혹을 조사하는 국정조사 등 정치 현안에 대한 여야 협상이 본격화되는 겁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웅래 기자!
내일부터 여야 연석회의가 시작된다고요?
[기자]
오전에 진행된 여야 원내대표 주례회동에서 나온 소식입니다.
여야는 내일부터 양당 대표와 원내대표 연석회의를 가동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 회의체는 공무원연금 개혁과 국책 사업 비리 의혹, 이른바 '사자방'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 실시 등 여야 간 쟁점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양당의 최고 지도부가 한 자리에 모여 정치권 현안을 논의하는 만큼 연말 정국의 해법이 찾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공무원연금 개혁과 관련해서는 이해당사자인 공무원을 어떤 논의 기구에 어떤 식으로 참여시킬지가 쟁점이고, 국정조사는 조사 대상과 범위를 놓고 여야가 이견을 보이고 있습니다.
연말 정국을 강타한 정윤회 사건에 대한 논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음 주 월요일부터 열리는 임시국회에서 이 문제에 대한 긴급현안질문까지 진행되는 만큼 정윤회 사건을 국회 차원에서 다룰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입니다.
하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는 여야 간의 이견이 워낙 크기 때문에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앵커]
잠시 뒤에 정기국회 마지막 본회의가 열리는데, 오늘 어떤 법안들이 처리됩니까?
[기자]
한 시간 뒤부터 진행될 본회의에서는 법안 130여 건이 처리될 예정입니다.
관심 법안들을 정리해보면, 우선 이른바 '송파 세모녀법'으로 불리는 복지법 개정안입니다.
기초생활수급과 긴급 복지 지원 대상을 대폭 늘리고, 복지 서비스 대상을 적극적으로 발굴하도록 하는 게 주요 내용입니다.
이밖에도 공직자의 취업 제한을 강화하는 이른바 관피아 방지법과 수능 출제 오류로 피해를 본 학생들을 구제하기 위한 특별법도 오늘 처리됩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김웅래[woongrae@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