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GOP 총기난사 그리고 윤 일병 폭행 사망 사건의 책임을 물어 사건 당시 사단장을 맡았던 장성급 지휘관들에게 징계조치가 내려졌습니다.
각각 감봉과 근신 처분을 내려졌는데, 징계가 너무 가벼운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황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사건 발생후 임병장 검거작전은 군이 맞나 싶을 정도로 총체적 허점을 드러냈습니다."
동료병사 5명이 숨지고 7명이 부상을 입은 GOP 총기난사 사건.
선임병들의 잇단 구타와 가혹행위로 숨진 윤 일병 사건.
올 한해를 떠들썩하게 했던 두 사건의 전직 지휘 책임자들에게 징계가 내려졌습니다.
육군은 징계위원회를 열고 22사단장이었던 서모 소장에게는 감봉 1개월을, 28사단장이었던 이모 소장에게는 근신 10일의 징계를 내렸다고 밝혔습니다.
모두 분류상 경징계에 속하는 것으로, 육군참모총장도 별다른 감경 없이 징계위 결과를 그대로 승인했습니다.
육군 측은 두 사람이 직접 지휘 책임자 보다 네 단계나 윗 상급자이기 때문에 지휘 감독 소홀에 대해서만 책임을 물은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장성급인 두 사람은 사건 직후 이미 보직 해임을 당한 것만으로도 향후 진급이 어려운만큼 내용상으로는 중징계를 받은 것이나 다름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과거 8명이 숨진 GP 총기난사 사건 때도 사단장과 군단장은 '감봉 3개월' 처분을 받았다면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징계는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두 사건의 책임을 지고 권오성 육군참모총장이 사실상 경질됐고, 권혁순 3군 사령관도 군복을 벗은 점을 감안하면 육군의 설명을 선뜻 납득하기 힘든 대목입니다.
실제로 인터넷 등에는 두 사건의 중대성과 파장으로 볼 때 징계가 너무 가벼운 것 아니냐는 비판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윤 일병 사건 축소 의혹과 관련해 '보고 누락' 책임으로 징계위에 회부됐던 국방부 인사기획관과 육군 인사참모부장 등 5명에 대해 어떤 결과가 나올 지 주목됩니다.
YTN 황혜경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GOP 총기난사 그리고 윤 일병 폭행 사망 사건의 책임을 물어 사건 당시 사단장을 맡았던 장성급 지휘관들에게 징계조치가 내려졌습니다.
각각 감봉과 근신 처분을 내려졌는데, 징계가 너무 가벼운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황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사건 발생후 임병장 검거작전은 군이 맞나 싶을 정도로 총체적 허점을 드러냈습니다."
동료병사 5명이 숨지고 7명이 부상을 입은 GOP 총기난사 사건.
선임병들의 잇단 구타와 가혹행위로 숨진 윤 일병 사건.
올 한해를 떠들썩하게 했던 두 사건의 전직 지휘 책임자들에게 징계가 내려졌습니다.
육군은 징계위원회를 열고 22사단장이었던 서모 소장에게는 감봉 1개월을, 28사단장이었던 이모 소장에게는 근신 10일의 징계를 내렸다고 밝혔습니다.
모두 분류상 경징계에 속하는 것으로, 육군참모총장도 별다른 감경 없이 징계위 결과를 그대로 승인했습니다.
육군 측은 두 사람이 직접 지휘 책임자 보다 네 단계나 윗 상급자이기 때문에 지휘 감독 소홀에 대해서만 책임을 물은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장성급인 두 사람은 사건 직후 이미 보직 해임을 당한 것만으로도 향후 진급이 어려운만큼 내용상으로는 중징계를 받은 것이나 다름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과거 8명이 숨진 GP 총기난사 사건 때도 사단장과 군단장은 '감봉 3개월' 처분을 받았다면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징계는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두 사건의 책임을 지고 권오성 육군참모총장이 사실상 경질됐고, 권혁순 3군 사령관도 군복을 벗은 점을 감안하면 육군의 설명을 선뜻 납득하기 힘든 대목입니다.
실제로 인터넷 등에는 두 사건의 중대성과 파장으로 볼 때 징계가 너무 가벼운 것 아니냐는 비판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윤 일병 사건 축소 의혹과 관련해 '보고 누락' 책임으로 징계위에 회부됐던 국방부 인사기획관과 육군 인사참모부장 등 5명에 대해 어떤 결과가 나올 지 주목됩니다.
YTN 황혜경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