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국회 차원에서 세월호 참사의 문제점을 짚고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세월호 국정조사'가 이번주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합니다.
하지만 국정조사의 범위와 증인 등을 놓고는 여전히 여야 의견이 갈려 국정조사가 순항할지는 미지수입니다.
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세월호 국정조사 요구서가 국회 본회의에 보고되면서 국정조사가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여야가 줄다리를 했던 국정조사 범위에 청와대가 포함됐고 언론사의 재난 보도 적절성까지도 조사 대상에 들어갔습니다.
국정조사 특위는 18명, 여야 동수로 구성됩니다.
문제는 각론입니다.
국민 여론에 떠밀려 서둘러 국조 요구서는 보고됐지만, 우선 청와대 어디까지를 조사 대상에 포함시킬지가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새누리당은 세월호 참사와 연관된 국가안보실 등에 한정해야 한다는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청와대 비서실 등 조직 전반을 조사 대상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증인 채택에서도 새정치연합은 전·현직 대통령을 국정조사 증인으로 불러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박범계,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변인]
"박근혜 대통령이 국민들 앞에 최종 책임이 자신에게 있음을 분명히 하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새누리당은 안된다고 합니다. 대통령을 흠집 내려는 것이 결코 아닙니다."
반면 새누리당은 세월호 참사를 선거에 이용하려는 정치 공세라고 일축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재원,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
"저는 도대체 전직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와 무슨 관계가 있는지도 의문이지만 현직 대통령을 조사해야 한다는데 대해서도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아서..."
국정조사요구서에는 빠져 있지만 국정원을 조사 대상에 포함시킬지도 관심입니다.
새누리당은 여야 합의대로 국정원을 조사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새정치연합은 국정원을 조사 대상에 추가 요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조사 기간도 새누리당은 세월호 사고 수습이 끝나는 지방선거 이후를, 새정치연합은 즉각적인 조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세월호 참사와 이에 따른 국정조사 등은 지방선거 최대 이슈로 떠올라 있습니다.
때문에 여야 모두 상대의 주장을 무조건 수용해 선거 정국에서 주도권을 내줄수 없는 상황이어서 실제 국정조사 실시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박순표[spark@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회 차원에서 세월호 참사의 문제점을 짚고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세월호 국정조사'가 이번주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합니다.
하지만 국정조사의 범위와 증인 등을 놓고는 여전히 여야 의견이 갈려 국정조사가 순항할지는 미지수입니다.
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세월호 국정조사 요구서가 국회 본회의에 보고되면서 국정조사가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여야가 줄다리를 했던 국정조사 범위에 청와대가 포함됐고 언론사의 재난 보도 적절성까지도 조사 대상에 들어갔습니다.
국정조사 특위는 18명, 여야 동수로 구성됩니다.
문제는 각론입니다.
국민 여론에 떠밀려 서둘러 국조 요구서는 보고됐지만, 우선 청와대 어디까지를 조사 대상에 포함시킬지가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새누리당은 세월호 참사와 연관된 국가안보실 등에 한정해야 한다는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청와대 비서실 등 조직 전반을 조사 대상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증인 채택에서도 새정치연합은 전·현직 대통령을 국정조사 증인으로 불러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박범계,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변인]
"박근혜 대통령이 국민들 앞에 최종 책임이 자신에게 있음을 분명히 하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새누리당은 안된다고 합니다. 대통령을 흠집 내려는 것이 결코 아닙니다."
반면 새누리당은 세월호 참사를 선거에 이용하려는 정치 공세라고 일축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재원,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
"저는 도대체 전직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와 무슨 관계가 있는지도 의문이지만 현직 대통령을 조사해야 한다는데 대해서도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아서..."
국정조사요구서에는 빠져 있지만 국정원을 조사 대상에 포함시킬지도 관심입니다.
새누리당은 여야 합의대로 국정원을 조사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새정치연합은 국정원을 조사 대상에 추가 요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조사 기간도 새누리당은 세월호 사고 수습이 끝나는 지방선거 이후를, 새정치연합은 즉각적인 조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세월호 참사와 이에 따른 국정조사 등은 지방선거 최대 이슈로 떠올라 있습니다.
때문에 여야 모두 상대의 주장을 무조건 수용해 선거 정국에서 주도권을 내줄수 없는 상황이어서 실제 국정조사 실시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박순표[spark@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