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치 심화...친노 타격 불가피

여야 대치 심화...친노 타격 불가피

2013.11.16. 오전 04:5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회의록이 고의 삭제되고 대통령 기록관에 이관되지 않았다는 검찰의 수사 결과 발표를 계기로 여야 대치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민주당 내부적으로도 문재인 의원을 비롯한 친노 진영의 정치적 입지에 적잖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국가기관의 대선 개입 의혹을 놓고 정국이 경색된 가운데 나온 검찰의 수사 결과 발표는 여야 대치를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이 큽니다.

민주당은 먼저 '짜맞추기 수사', '예고된 결론' 이라고 반발하며, 국가기관 대선 개입 의혹과 함께 특검 도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특검을 정기국회 주요 법안과 예산안 처리와 연계해, 대여 공세 수위를 높일 가능성도 큽니다.

[인터뷰:박범계, 민주당 의원]
"우리는 대화록의 유출, 유통, 전문공개 등 대화록 관련 모든 것을 포함하는 특별검사제를 도입해서 국기문란 행위를 단죄할 것을 강력히 촉구합니다."

새누리당은 '사초 폐기'가 사실로 드러났다며 문재인 의원 책임론을 전면에 들고 나왔습니다.

나아가, '사초 폐기'와 함께 참여정부 말 전자정부시스템이 외부로 유출됐다 돌아올 사실에 대해 검찰 수사를 촉구하며, 친노 진영을 더욱 압박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윤상현, 새누리당 의원]
"만약에 이 전자정부시스템 설계도 등이 적대 세력에게 유출됐다면, 국가적인 재앙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그래서 빨리 사실 관계를 규명해야 합니다."

문재인 의원을 비롯한 친노 진영의 정치적 타격도 불가피합니다.

'실무진의 착오'라고는 하지만 국가기록원에 회의록이 이관되지 않았고 문재인 의원 역시 이런 사실을 1년 가까이 몰라 정치적 혼란을 야기시킨 책임을 여권이 계속 제기할 가능성이 큽니다.

또, 여야 대치가 장기화될 경우, 민주당 내부적으로도 '친노 책임론'이 거론될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결국, 지난 대선에서 시작된 'NLL 공방'은 '회의록 삭제와 미이관'으로 결론이 났지만 여야의 대립과 정치적 책임 공방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YTN 박순표[spark@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