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조직 확정...국정운영 정상화

새 정부 조직 확정...국정운영 정상화

2013.03.23. 오전 05:1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멘트]

국회에서 정부조직법이 처리되면서 출범 20여 일 만에 새 정부 조직의 골격이 갖춰졌습니다.

각 부처의 역할과 기능이 확정되고 직제에 따라 장관이 다시 임명되는 등 국정 운영도 급속히 정상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박기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녹취:강창희, 국회의장]
"김기현 의원 외 30인이 발의한 정부조직법 전부 개정법률안 대안에 대한 수정안은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국회가 50일 넘게 끌어오던 협상을 마무리짓고, 진통 끝에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로써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비전을 담은 17부 3처 17청의 정부조직의 골격이 확정됐습니다.

특히 5년 만에 부활된 경제 부총리는 경제 위기 극복을 진두지휘하게 되고 미래창조과학부는 창조경제를 선도하며 우리 산업의 미래를 열어가게 됩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곧바로 경제 부총리와 국정원장, 금융위원장을 임명하며 국정 정상화에 속도를 냈습니다.

[녹취:윤창중, 청와대 대변인]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기조 4대 원칙에 따라 국민 중심의 행정이라는 큰 틀에서 140개 국정과제 추진에 속도감 있게 올인하고..."

정부도 국무회의를 열어 정부조직 개편 관련 법안을 공포함으로써, 오늘부터 달라진 정부 직제가 시행에 들어갔습니다.

이에 따라 출범 이후 한 달 가까이 파행을 겪던 국정 운영도 빠르게 정상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 부처 명칭으로 임명된 장관이 새 정부 조직에 따라 다시 임명되고, 하위 부서의 역할과 기능을 조정하는 작업도 신속하게 이뤄질 예정입니다.

아직 임명되지 못한 최문기 미래부 장관과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도 조만간 열리게 됩니다.

국가안보실 등 청와대 조직 개편도 마무리되고 김관진 국방장관이 유임되면서 안보 위기에 대응하는 체제 정비도 서두를 수 있게 됐습니다.

YTN 박기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