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청와대는 일본 대지진 사태를 계기로 국가위기관리체제를 효과적으로 강화하고, 전 정부 부처가 위기 상황에 긴밀하게 협조하는 체제를 점검하는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청와대 김희정 대변인은 오늘 브리핑을 통해 청와대 안광찬 국가위기관리실장 주재로 이같은 내용을 논의하는 2011년 전반기 '국가위기관리회의'가 오늘 청와대에서 열렸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국가위기관리회의에는 안보와 재난 등 국가위기 관련 유관 기관의 실장급 공무원들이 참석하며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실이 총리실과 함께 지난 석 달 동안 국가위기관리업무 개선 태스크포스를 운영한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김 대변인은 최근 원전 안전 등 현안을 중심으로 소관 법령과 매뉴얼을 정비하는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유사시 긴밀한 협조하에 일사분란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국가위기관리체계를 마련하는 자리였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어제 국무회의에서도 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지진과 해일 등 복합적인 재난에 대비해 신속한 의사결정과 중앙대책본부, 사고수습본부 운영, 구체적인 매뉴얼, 기관간 역할 정리 등 통합 대응 체계를 강화하자는 논의가 있었다고 소개했습니다.
이승윤 [risungyoo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청와대 김희정 대변인은 오늘 브리핑을 통해 청와대 안광찬 국가위기관리실장 주재로 이같은 내용을 논의하는 2011년 전반기 '국가위기관리회의'가 오늘 청와대에서 열렸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국가위기관리회의에는 안보와 재난 등 국가위기 관련 유관 기관의 실장급 공무원들이 참석하며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실이 총리실과 함께 지난 석 달 동안 국가위기관리업무 개선 태스크포스를 운영한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김 대변인은 최근 원전 안전 등 현안을 중심으로 소관 법령과 매뉴얼을 정비하는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유사시 긴밀한 협조하에 일사분란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국가위기관리체계를 마련하는 자리였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어제 국무회의에서도 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지진과 해일 등 복합적인 재난에 대비해 신속한 의사결정과 중앙대책본부, 사고수습본부 운영, 구체적인 매뉴얼, 기관간 역할 정리 등 통합 대응 체계를 강화하자는 논의가 있었다고 소개했습니다.
이승윤 [risungyoo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