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오늘 한중일 정상이 천안함 사태를 지속적으로 협의하기로 함으로써 일단 중국의 협조를 얻을 수 있는 길은 열어놨습니다.
하지만 원자바오 총리가 긴장 해소와 충돌 예방을 강조하며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는 점에서 섣부른 낙관은 피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윤경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원자바오 총리는 우리가 가야 할 길에는 난관과 위험도 있을 것이라는 말로 천안함과 관련한 이야기를 꺼냈습니다.
[녹취:원자바오, 중국 총리]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중대한 문제에 대해서 서로 배려를 해주며 민감한 문제를 타당히 처리하고 정치적 신뢰를 강화해야 합니다."
또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한중일 협력 없이는 그동안 쌓아온 성과도 물거품처럼 사라질 것이라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특히 천안함 사건으로 인해 조성된 긴장의 해소와 군사적 충돌 예방의 필요성을 지적했습니다.
[녹취:원자바오, 중국 총리]
"천안함 사건으로 인해 생긴 엄중한 영향을 해소하고 긴장한 정세를 점차적으로 완화하며 특히 충돌을 피해야 합니다."
이런 언급은 남북을 포함한 이해당사국들에게 냉정과 자제를 촉구해온 그동안의 입장에서 크게 달라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강경한 대북 조치가 북한을 자극해 충돌 위기로 가지 않도록 냉정히 대응할 것을 우회적으로 촉구한 것으로도 풀이됩니다.
또한 공정하게 시시비비를 가리고 결과가 나오면 그 누구도 비호하지 않겠다고 밝혔던 만큼, 자체 검토작업이 끝날 때까지는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집니다.
다만 책임있는 국가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국제사회의 반응을 중시한다고 밝힌 부분에서는 향후 태도변화의 가능성도 감지됩니다.
국제사회가 북한을 규탄하는 상황에서 마냥 북한을 감쌀 수 만은 없는 중국의 고민이 읽혀지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정부는 이처럼 중국이 모호성을 유지하고 있어 유엔 안보리 회부 시기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러시아 전문가팀이 조만간 한국을 방문해 자체 분석작업에 착수할 예정이어서 정부는 중국과 러시아의 태도를 관찰하며 회부 시기를 저울질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윤경민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오늘 한중일 정상이 천안함 사태를 지속적으로 협의하기로 함으로써 일단 중국의 협조를 얻을 수 있는 길은 열어놨습니다.
하지만 원자바오 총리가 긴장 해소와 충돌 예방을 강조하며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는 점에서 섣부른 낙관은 피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윤경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원자바오 총리는 우리가 가야 할 길에는 난관과 위험도 있을 것이라는 말로 천안함과 관련한 이야기를 꺼냈습니다.
[녹취:원자바오, 중국 총리]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중대한 문제에 대해서 서로 배려를 해주며 민감한 문제를 타당히 처리하고 정치적 신뢰를 강화해야 합니다."
또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한중일 협력 없이는 그동안 쌓아온 성과도 물거품처럼 사라질 것이라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특히 천안함 사건으로 인해 조성된 긴장의 해소와 군사적 충돌 예방의 필요성을 지적했습니다.
[녹취:원자바오, 중국 총리]
"천안함 사건으로 인해 생긴 엄중한 영향을 해소하고 긴장한 정세를 점차적으로 완화하며 특히 충돌을 피해야 합니다."
이런 언급은 남북을 포함한 이해당사국들에게 냉정과 자제를 촉구해온 그동안의 입장에서 크게 달라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강경한 대북 조치가 북한을 자극해 충돌 위기로 가지 않도록 냉정히 대응할 것을 우회적으로 촉구한 것으로도 풀이됩니다.
또한 공정하게 시시비비를 가리고 결과가 나오면 그 누구도 비호하지 않겠다고 밝혔던 만큼, 자체 검토작업이 끝날 때까지는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집니다.
다만 책임있는 국가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국제사회의 반응을 중시한다고 밝힌 부분에서는 향후 태도변화의 가능성도 감지됩니다.
국제사회가 북한을 규탄하는 상황에서 마냥 북한을 감쌀 수 만은 없는 중국의 고민이 읽혀지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정부는 이처럼 중국이 모호성을 유지하고 있어 유엔 안보리 회부 시기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러시아 전문가팀이 조만간 한국을 방문해 자체 분석작업에 착수할 예정이어서 정부는 중국과 러시아의 태도를 관찰하며 회부 시기를 저울질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윤경민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