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약자 위한 영화 만드는 영화감독 이길보라

디지털 코리안 타운
디지털 코리안 타운
2019.08.23. 오후 4:26
글자크기설정
네덜란드는 이렇게 풍차 모양을 그리는 거거든요. 네덜란드가 풍차로 유명하니까 이게 네덜란드고요.

한국은, 한국 수화로 이게 한국이고, 국제 수화로는 이렇게 갓 쓴 모양이에요. 옛날에 갓을 썼잖아요? 그래서 조선의 갓 쓴 모양을 따라 해서 한국이에요.

[인터뷰: 이길보라 / 영화감독]
안녕하세요, 저는 글 쓰고 영화 만드는 이길보라 이고요. 농인 부모로부터 태어난 것이 이야기꾼의 선천적 자질이라고 굳게 믿고, 글을 쓰고 영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1> '농인' 부모님,
말 대신 배운 '세상을 바라보는 법'

저한테는 항상 영화뿐만 아니라 세상을 어떻게 바라봐야 한다는 걸 엄마 아빠로부터 많이 배운 것 같아요. 저희 엄마, 아빠가 농인 인데, 수화를 사용해야 하는 농인인데 그래서 전 어렸을 때부터 제 모어가 저는 수화로 옹알이를 하고 음성 언어 대신 수화로 옹알이를 하면서 세상을 만났거든요. 그러다 보니 다른 사람들, 즉 음성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랑 비교해서 세상을 바라보는 법이 조금씩 달랐던 것 같아요. 항상 농인의 시선에서 세상을 바라보고 수화를 사용하는 사람들 시선에서 세상을 바라보면 어떻게 다르게 보이는 걸까? 그 두 개의 차이는 뭘까 이런 걸 생각하면서 자라다 보니까 자연스럽게 글을 쓰고 영화를 만드는, 이야기를 만드는, 하는 사람이 된 것 같아요.

저는 한국에서는 그게 소수자로 분류되잖아요. 여성, 청각장애인, 나이가 어린, 나이가 어린 여성, 여기서는 아예 아시아인으로 불리고 그런 것들이 사실 저는 어렸을 때 그것들이 한국에서는 소수자, 혹은 약자로 불리기 때문에 제가 그런 것들을 이해하기 때문에 그런 사람을 더 이해할 수 있는 영화를 만든다 혹은 그런 사람들을 이해할 수 있는 글을 쓴다고 생각했는데 사실은 그게 지금 소수자라고 불리는 게 맞나? 라는 생각이 들어요. 그럼 누가 다수지? 누가 소수지? 그런 생각을 하게 되거든요. 그럼 그 다수와 소수를 누가 결정하는 걸까? 이런 생각을 하게 되더라고요.

어렸을 때부터 애니메이션 말고, 그러니까 어렸을 때 애니메이션을 많이 보잖아요? 애니메이션 말고 다큐멘터리를 많이 봤던 것 같아요. 왜냐면, 다큐멘터리가 항상 저한테는 세상의 창, 세상으로 나갈 수 있는 창 같은 거였거든요. 전 다큐멘터리를 통해서 뭔가를 배우고 누군가를 만나고 그랬기 때문에 되게 자연스럽게 커서 나도 저런 걸 만드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생각했어요.

<2> 운명처럼 시작한 네덜란드 생활
"영화를 꿈꾸다"

(네덜란드에서는) 그렇게 라벨을 붙이는 걸 별로 안 하는 것 같아요. 왜냐면, 구분 짓기 혹은 너는 내 편, 쟤는 내 편이 아니다, 쟤는 남의 편 이런 식으로 구분 짓는 걸 덜 한다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