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로 '인구절벽' 극복한다!…재외동포재단 한우성 이사장

재외동포로 '인구절벽' 극복한다!…재외동포재단 한우성 이사장

2019.11.03. 오후 9:0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우리나라는 몇 년 전부터 세계 최하위의 출산율을 보이면서 생산가능인구가 급격히 줄어드는 이른바 인구 절벽 사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국가의 존립마저 위협하는 이 심각한 인구 문제의 해법으로 재외동포를 생각해야 한다는 의견이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우성 재외동포재단 이사장과 함께 이 문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이사장님 안녕하십니까.

[한우성 /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안녕하세요.

[앵커]
재외동포가 우리 인구문제를 풀어줄 해법이다 이런 큰 주제인데 우선 이게 어떤 생각인지 개괄적으로 설명을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한우성 /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이민 정책으로 인구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성공하는 나라는 한 나라밖에 없습니다. 미국밖에 없습니다.

그러니까 이 다른 나라들도 어디를 보느냐 하면 자기들의 해외 동포, 재외동포를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스라엘은 대표적인 예고요. 심지어 중국이나 인도 같은 나라도 마찬가지고요.

아일랜드, 폴란드 뭐 예외가 없습니다. 우리는 이미 전 세계 750만 이런 동포가 나가 있거든요.

그들에 대해서 우리가 이런 각도에서 바라봐서 밖에 나가 있는 750만 재외동포를 우리가 좀 더 잘 어떻게 보면 활용한다고 볼 수 있고 다 하나가 돼서 시너지 효과를 두고 오는 쪽으로 적극적으로 정책을 구상해야지 되지 않나 그렇게 생각합니다.

[앵커]
이게 이제 한국 영토 밖에 있는 우리 재외동포를 물리적으로 우리 국내로 귀국시킨다, 이것만을 뜻하는 건 아니시죠?

[한우성 /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우리나라가 해방 이후에 지금까지 해외로 우리나라에서 태어나서 해외로 간 입양아들이 20만 명 정도 됩니다. 지금도 1년에 400명 정도가 매년 나가요.

그러면 여기는 100% 한국인이고 한민족인 거죠? 그런데 나가 가지고 아이들이 자라나서 이제는 뭐 입양아는 아니고 어른이 돼서 거기서 결혼할 것 아니에요? 그럼 2세, 3세가 태어나죠?

이미 뭐 많이 태어났습니다. 이 숫자가 예를 들어서 한 30만 이상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여기에 대해서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고 그다음에 이 입양인 2세, 3세들도 자기들이 한국인이라는 생각을 전혀 하지 않아요.

어떻게 그렇게 할 수가 있겠습니까? 그러니까 어디 사는지도 모르고 한국인의 정체성도 없고 그렇게 세계 도처에 흩어져 살다가 그렇게 사라져 가는 그런 겁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만약에 인구문제라는 관점에서 이걸 보면 지금 수십만이 밖에 우리 자식들이 있는 겁니다.

그런데 그걸 그냥 놔두는 것 하고 그들한테 우리가 찾아서 정체성 교육도 하고 또 여러분들이 밖에서 살지만, 한민족의 일원이다, 그리고 혈연적으로 보면 2세들은 최소한 50% 이상이 한국인입니다.

그러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100% 우리의 피를 가진 아이들인데 그런 아이들이 다 버려져 있는 그런 셈인 거죠.

같은 대한민국 국민이랑 사실 정부로부터 대우받고 하는 게 달라질 수밖에 없고 그들이 그렇게 자라나면 국가에 대한 충성심이나 이런 소속감 이런 게 달라질 수밖에 없지 않습니까?

저는 이런 것은 해소해야 한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앵커]
그럼 이런 정책이 실질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제 생각으로는 무엇보다 우리 내국인들의 생각이 중요하다고 보거든요?

재외동포도 우리 국민이다, 하는 이런 인식조성이 매우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한우성 /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국적이 어디냐?" 대한민국 국적을 갖고 있으면 한국인이고 대한민국 국적을 갖고 있으면 아니다, 이렇게 생각을 많이 하시게 되는데 이게 우리의 옛날 교육에 의한 산물입니다.

요즘 세계는 OECD 국가의 반 이상이 복수 국적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우리나라도 복수국적을 시행하고 있어요.

65세 이상이 되면 복수국적을 가질 수 있거든요? 그러니까 한 인간이 만약 복수국적을 두 개를 갖는 게 선진국에서 보편적인 현상이다는 걸 우리 국민이 아시면 다른 나라 국적을 갖고 있다는 것에서 생각하는 게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면 정체성의 문제, 국적의 문제를 우리가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하고요.

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는 분들 자신도 해외동포 또는 재외동포 이게 같은 의미입니다. 그것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 왜 모르느냐면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우리 국민에게 동포 교육을 시키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요즘은 태어나서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재외동포 또는 해외 동포에 대한 정규교육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자라나는 그런 현실이거든요? 근데 이런 분들이 자라나 가지고 언론인도 되고, 국회의원도 되고 정부관료도 되고 정책을 세우고 집행하게 되니까 악순환이 계속되는 거죠.

5천2백만 우리 내국인과 750만 재외동포들이 가진 에너지를 하나로 합쳐서 우리의 국가적 과제인 평화통일이라든가 이런 것들을 이제 해결해나가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앵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