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반려동물 문화와 동물권에 대한 논의가 우리보다 일찍이 발달한 미국에서는,
최근 동물 과잉 수집벽, 이른바 애니멀 호딩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애니멀 호딩'이란 동물을 보호할 수 있는 여건인지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많은 동물을 데려와 열악한 환경 속에 방치하는 학대 행위를 말하는데요.
양수연 리포터가 구체적인 소식 전해드립니다.
[기자]
전체 인구 약 3명 중 2명이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미국.
우리에게도 친숙한 개와 고양이부터 햄스터, 기니피그, 파충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동물이 미국인의 삶과 함께 하고 있습니다.
미국인의 90% 이상은 반려동물을 단순한 소유물이 아닌 가족으로 생각한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습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예상치 못한 그림자가 존재합니다.
1868년부터 동물 보호에 힘써온 매사추세츠 동물 학대 방지 협회는 버려졌다 구출된 수많은 동물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동물 과잉 수집벽, 이른바 애니멀 호딩 행위에서 구출된 동물들입니다.
[앨리사 루에거/ MSPCA 지역사회 협력 이사 : 동물들은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우리 동물 보호소에 오게 됩니다. 어떤 동물들은 '애니멀 호딩' 상황에서 구조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100마리의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 경우 우리가 그 고양이들을 구조해 보호소로 데려와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아줍니다.]
비정상적으로 많은 동물을 데려와 제대로 돌보지 않고 사실상 방치하는 학대 행위를 뜻하는 애니멀 호딩.
정신의학 전문가들은 이를 저장 강박 장애의 하나로 분류합니다.
미국정신과협회에 따르면 미국 성인 인구의 2~5%가 이처럼 동물을 수집하기만 하고,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앨리사 루에거/ MSPCA 지역사회 협력 이사 : 저는 이런 애니멀 호딩 문제를 정말 많이 경험했어요. 보통 담당 공무원이 동물 수집가를 만나면, 수집가가 결국 반려동물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영장을 통해 강제로 동물을 구조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요.]
애니멀 호딩 연구회는 지난 1997년 애니멀 호더를 진단하는 네 가지 기준을 제시하면서
과잉 수집된 동물이 비위생적인 환경에 방치돼 병에 걸리거나 심지어 죽음에 이르는 상황에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이는 동물의 기본적 복지를 위협할 뿐만 아니라 인수공통감염병을 야기할 수 있어 인간의 공중보건에도 큰 위험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겁니다.
미국 일부 주에서는 애니멀 호딩이 적발되면 평생 동물 소유를 금지하는 조처를 취하거나 징역을 선고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처벌이 근본적이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강조합니다.
[크리스 신들러 / 매사추세츠 동물 학대 방지 협회(MSPCA) 법 집행 국장 : 이건 정말 사람과 동물이 모두 관련된 문제입니다. 그래서 사람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게 가장 중요해요. 그렇지 않으면 결국 상황이 반복될 수밖에 없습니다.]
[마이크 케일리 / 매사추세츠 동물 학대 방지 협회(MSPCA) 동물 보호 부회장 : 많은 동물 수집가들이 과거에는 동물을 돌봐왔지만 정신 건강 문제를 겪으며 상황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그들이 도움을 받아들일 수 있는 지속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는 한 근본적인 변화는 어렵습니다.]
인간과 동물이 함께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우리 주변의 이웃과 동물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해 보입니다.
미국에서 YTN 월드 양수연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반려동물 문화와 동물권에 대한 논의가 우리보다 일찍이 발달한 미국에서는,
최근 동물 과잉 수집벽, 이른바 애니멀 호딩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애니멀 호딩'이란 동물을 보호할 수 있는 여건인지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많은 동물을 데려와 열악한 환경 속에 방치하는 학대 행위를 말하는데요.
양수연 리포터가 구체적인 소식 전해드립니다.
[기자]
전체 인구 약 3명 중 2명이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미국.
우리에게도 친숙한 개와 고양이부터 햄스터, 기니피그, 파충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동물이 미국인의 삶과 함께 하고 있습니다.
미국인의 90% 이상은 반려동물을 단순한 소유물이 아닌 가족으로 생각한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습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예상치 못한 그림자가 존재합니다.
1868년부터 동물 보호에 힘써온 매사추세츠 동물 학대 방지 협회는 버려졌다 구출된 수많은 동물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동물 과잉 수집벽, 이른바 애니멀 호딩 행위에서 구출된 동물들입니다.
[앨리사 루에거/ MSPCA 지역사회 협력 이사 : 동물들은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우리 동물 보호소에 오게 됩니다. 어떤 동물들은 '애니멀 호딩' 상황에서 구조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100마리의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 경우 우리가 그 고양이들을 구조해 보호소로 데려와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아줍니다.]
비정상적으로 많은 동물을 데려와 제대로 돌보지 않고 사실상 방치하는 학대 행위를 뜻하는 애니멀 호딩.
정신의학 전문가들은 이를 저장 강박 장애의 하나로 분류합니다.
미국정신과협회에 따르면 미국 성인 인구의 2~5%가 이처럼 동물을 수집하기만 하고,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앨리사 루에거/ MSPCA 지역사회 협력 이사 : 저는 이런 애니멀 호딩 문제를 정말 많이 경험했어요. 보통 담당 공무원이 동물 수집가를 만나면, 수집가가 결국 반려동물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영장을 통해 강제로 동물을 구조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요.]
애니멀 호딩 연구회는 지난 1997년 애니멀 호더를 진단하는 네 가지 기준을 제시하면서
과잉 수집된 동물이 비위생적인 환경에 방치돼 병에 걸리거나 심지어 죽음에 이르는 상황에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이는 동물의 기본적 복지를 위협할 뿐만 아니라 인수공통감염병을 야기할 수 있어 인간의 공중보건에도 큰 위험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겁니다.
미국 일부 주에서는 애니멀 호딩이 적발되면 평생 동물 소유를 금지하는 조처를 취하거나 징역을 선고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처벌이 근본적이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강조합니다.
[크리스 신들러 / 매사추세츠 동물 학대 방지 협회(MSPCA) 법 집행 국장 : 이건 정말 사람과 동물이 모두 관련된 문제입니다. 그래서 사람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게 가장 중요해요. 그렇지 않으면 결국 상황이 반복될 수밖에 없습니다.]
[마이크 케일리 / 매사추세츠 동물 학대 방지 협회(MSPCA) 동물 보호 부회장 : 많은 동물 수집가들이 과거에는 동물을 돌봐왔지만 정신 건강 문제를 겪으며 상황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그들이 도움을 받아들일 수 있는 지속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는 한 근본적인 변화는 어렵습니다.]
인간과 동물이 함께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우리 주변의 이웃과 동물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해 보입니다.
미국에서 YTN 월드 양수연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