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우리말, 같이 알아볼까요?

헷갈리는 우리말, 같이 알아볼까요?

2023.03.06. 오전 03:3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비슷한 발음에 글자 형식마저 비슷해서 더 헷갈리는 우리말이 있는데요.

‘맞히다’와 ‘맞추다’, ‘늘이다’와 ‘늘리다’처럼 알쏭달쏭한 우리말, 함께 알아봅니다.

먼저 문제를 함께 풀어볼까요.

여기 두 문장이 있는데요.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는 뭘까요?

첫 번째 문장, “문제를 풀 때 정답을 (맞히면/맞추면) 기분이 좋다”

답을 생각하셨나요?...

네, 바로 ‘맞히면’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두 번째, “과녁에 화살을 (맞혀야/맞춰야) 한다”

올바른 표현은 뭘까요?

네, 바로 ‘맞혀야 한다’가 바른 답입니다.

두 경우 모두 ‘맞추다’로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맞히다와 맞추다는 비슷한 듯 하지만 의미는 차이가 있습니다.

‘맞히다’는 문제에 대한 ‘답을 틀리지 않게 하다, 적중하다’는 의미로, 원형은 ‘맞다’입니다.

따라서 문제의 올바른 답을 찾을 때나 표적을 향해 뭔가를 쏠 때도 ‘맞히다’가 바른 표현이고요.

침이나 주사 등의 치료를 할 때도 ‘맞히다’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반면 ‘맞추다’는 둘 이상의 대상을 나란히 놓고 서로 비교하거나, 제자리에 맞게 붙이는 경우, 또는 시간 등을 정해진 기준과 일치하게 하는 것을 가리키고요.

“일정을 맞추다, 길이를 맞추다, 박자를 맞추다”등으로 쓸 수 있고, 답안지와 ‘내가 쓴 답’을 나란히 놓고 비교하고 확인할 땐 “답을 맞추다”로 써야합니다.

그런가하면 ‘늘이다’와 ‘늘리다’도 자주 혼용돼 쓰이는데요.

늘이다는 ‘더 길게 하다, 선을 연장해 계속 긋다’ 등의 뜻으로 주로 길이와 관련됩니다.

“고무줄을 늘이다, 바짓단을 늘이다”처럼 쓸 수 있고요.

‘늘리다’는 물체의 넓이나 부피가 더 커지거나, ‘수’나 ‘시간’, ‘분량, 세력 능력, 살림’ 등을 더 늘게 하는 것과 관련 있습니다.

“주차장 규모를 늘리다, 재산을 늘리다, 시험 시간을 늘려야한다”처럼 쓸 수 있어요.

알쏭달쏭, 헷갈리는 우리말 단어 알아봤는데요. 바른 표기를 다 ‘맞힌’ 분도 있을 테고요.

뒤늦게 답을 ‘맞춰’보고 내가 틀렸구나, 하는 경우도 있을 텐데요.

괜찮습니다. 저희 뉴스말모이와 함께 지식을 늘려가 보자고요.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