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항일운동의 대표인물, 안중근 의사의 동상이 노후화됨에 따라 지명현상 공모를 거쳐 오는 10월 재건립 됩니다.
서울시는 청동으로 제작된 안 의사 동상이 40년을 넘으면서 부식과 균열이 생겨 안정성 문제와 함께 위인의 품격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제기돼 재건립을 추진하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시는 동상 재건립과 관련해 역사와 문화예술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했으며, 추천받은 작가 5명으로부터 다음달까지 동상 모형을 제출받은 뒤 최종 선정된 작품을 10월 말까지 설치·완료할 계획입니다.
안중근 의사 동상은 일제 식민통치의 상징물인 남산 조선신궁 자리, 현 남산공원 내 안 의사 기념관 옆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홍석근 [hsk8027@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시는 청동으로 제작된 안 의사 동상이 40년을 넘으면서 부식과 균열이 생겨 안정성 문제와 함께 위인의 품격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제기돼 재건립을 추진하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시는 동상 재건립과 관련해 역사와 문화예술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했으며, 추천받은 작가 5명으로부터 다음달까지 동상 모형을 제출받은 뒤 최종 선정된 작품을 10월 말까지 설치·완료할 계획입니다.
안중근 의사 동상은 일제 식민통치의 상징물인 남산 조선신궁 자리, 현 남산공원 내 안 의사 기념관 옆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홍석근 [hsk8027@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