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인생 100세' 시대인가? [강창희, 미래에셋 부회장]

왜 '인생 100세' 시대인가? [강창희, 미래에셋 부회장]

2009.07.22. 오전 09: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질문1]

몇 년 전부터 투자자 교육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주로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까?

강의 제목을 보면 "인생 100세 시대의 자산관리 책명"으로 돼 있습니다.

왜 100세 시대입니까?

[질문2]

요즘은 40세에 은퇴하는 사람도 많고, 대부분 50대에 직장생활을 접습니다.

조기에 은퇴하고 100세 노후에 대비하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합니까?

[질문3]

인생 3번의 정년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한다는 말도 했는데 어떤 뜻입니까?

[질문4]

"직장인으로 성공하려면 금융을 알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왜 그렇습니까?

요즘은 학생시절에도 투자동아리가 있고, 직장에 들어가면 재테크에 지나칠 정도로 관심을 쏟고 있습니다.

재테크 열풍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새내기 직장인의 재테크는 어디서부터 시작할까요?

결혼하면 대부분 아파트를 장만하는 것을 최우선 순위로 꼽습니다.

좋은 방법이라고 봅니까?

[질문5]

한국인의 재산은 부동산에 편중돼 있다고 합니다.

부동산 투자는 어떤 문제가 있습니까?

가장 확실하고, 안전한 것이 부동산 투자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다수인 한에는 부동산 투자가 여전히 유효하지 않을까요?

금융자산과 부동산의 적절비율은 어느 정도라고 봅니까?

[질문6]

저금리 시대에 금융자산은 잘 불어나지 않습니다.

일확천금을 노리려면 주식에 투자해야 하지만 위험하기도 합니다.

금융자산을 어떻게 운용해야 합니까?

예금과 투자상품의 적정 배분비율은?

[질문7]

"30대 이후의 인생재테크, 펀드투자로 시작하라"는 책을 냈습니다.

왜 펀드투자입니까?

일반인은 직접투자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입니까?

미국의 유명 펀드매니저인 피터 린치나 필립 피셔 같은 사람들은 일반인에게 적접투자를 권유하지 않습니다만...

[질문8]

그렇다면 일반인들이 투자할 펀드는 어떻게 골라야 합니까?

[질문9]

나이에 따라 주식이나 펀드, 채권의 포트폴리오가 달라야 한다고 합니다.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합니까?

[질문10]

노후자금이 부족한 사람들은 나이 들어서도 일을 해야 합니다.

건강을 위해서 일을 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노후를 보람있게 사는 방법은 무엇이라고 봅니까?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