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1947년 오늘,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가 열렸다.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휴회에 들어간 지 1년 만이다.
미소공동위원회는 한국의 신탁통치와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46년 3월 20일 제1차 회의를 시작했지만 1946년 5월 공동성명 제7호까지 발표한 뒤 아무런 결실 없이 휴회했었다.
제2차 미소공동위도 미국과 소련의 입장차이로 교착상태에 빠지게 된다.
결국 소련대표단이 서울 철수를 발표하고 1947년 10월 21일 평양을 떠남으로써 2년 여에 걸쳐 진행된 미소공동위원회는 성과 없이 막을 내리고 만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휴회에 들어간 지 1년 만이다.
미소공동위원회는 한국의 신탁통치와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46년 3월 20일 제1차 회의를 시작했지만 1946년 5월 공동성명 제7호까지 발표한 뒤 아무런 결실 없이 휴회했었다.
제2차 미소공동위도 미국과 소련의 입장차이로 교착상태에 빠지게 된다.
결국 소련대표단이 서울 철수를 발표하고 1947년 10월 21일 평양을 떠남으로써 2년 여에 걸쳐 진행된 미소공동위원회는 성과 없이 막을 내리고 만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