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1950년 오늘 새벽 4시 북한군이 38선 전역에 걸쳐 국군의 진지에 맹렬한 포화를 퍼부으며 기습공격을 시작했다.
6.25전쟁의 시작이었다.
또 북한의 야크(YAK)전투기가 김포비행장을 폭격하고 서울시가지에 기총소사를 가했다.
국군은 비상경계령이 해제돼 병력의 3분의1 이상이 외출한 상태였다.
국군은 패전을 거듭하며 후퇴하고 서울은 곧바로 북한군의 수중에 들어갔다.
북한의 남침 소식을 들은 미국의 트루먼 대통령은 UN안전보장이사회의 긴급소집을 요구한다.
UN안보리는 유엔군 파병을 결정하고 16개 나라, 30만여 명으로 구성된 유엔군이 한반도에 투입된다.
같은 해 9월 15일 유엔군 총사령관 맥아더 장군은 인천상륙작전을 전개해 전세를 반전시킨다.
6.25전쟁은 발발 2년 뒤인 1953년 7월 27일 북한군과 유엔군 사이에 휴전협정이 조인됨으로써 막을 내린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6.25전쟁의 시작이었다.
또 북한의 야크(YAK)전투기가 김포비행장을 폭격하고 서울시가지에 기총소사를 가했다.
국군은 비상경계령이 해제돼 병력의 3분의1 이상이 외출한 상태였다.
국군은 패전을 거듭하며 후퇴하고 서울은 곧바로 북한군의 수중에 들어갔다.
북한의 남침 소식을 들은 미국의 트루먼 대통령은 UN안전보장이사회의 긴급소집을 요구한다.
UN안보리는 유엔군 파병을 결정하고 16개 나라, 30만여 명으로 구성된 유엔군이 한반도에 투입된다.
같은 해 9월 15일 유엔군 총사령관 맥아더 장군은 인천상륙작전을 전개해 전세를 반전시킨다.
6.25전쟁은 발발 2년 뒤인 1953년 7월 27일 북한군과 유엔군 사이에 휴전협정이 조인됨으로써 막을 내린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