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4일 역사 속 오늘

4월 4일 역사 속 오늘

2004.04.04. 오전 09: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1. (1994) 서재필의사 유해 환국 -대한뉴스-

조국의 독립과 발전을 위해 헌신한 후 이억 만 리 미국땅에 묻혀있던 애국지사 서재필박사와 전명운 의사의 유해가 김포공항에 도착 반세기만에 환국했습니다.

독립신문을 창간하고 독립협회 운동을 주도한 서재필박사의 유해는 생가인 전남 보성군 문덕면 서박사 고인의 선영을 도운 뒤 기념관에 모시고 주민과 각계인사 2천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해 봉환식을 가졌습니다.

친일 미국인 외교관 스티븐스를 저격한 전명운의사 유해는 담양읍 향교리 담양전씨 시조묘앞에 모시고 참배행사를 올렸습니다.

이보다 앞서 서재필박사 유해는 서울독립문에서도 봉환행사를 가졌습니다.

2. (1944) 이탈리아, 화산 폭발

폼페이최후의 날로 기억되는 이탈리아의 베스비우스화산이 1944년 오늘 또다시 폭발했습니다.

베스비우스화산은 폭발 후 터져 나온 용암으로 뒤덮였지만 산허리에서 경작하던 이 일대 주민들은 모두 대피해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첫 번째의 베스비우스화산 대폭발은 로마제국의 화려했던 고대도시 폼페이를 그대로 집어삼켜 발굴되기까지 1600년 동안 폼페이는 화산재에 묻혀있었습니다.

나폴리 근교의 베스비우스화산 폭발은 폼페이의 멸망을 가져온 비극이었지만 역설적으로 폼페이는 200년간의 발굴을 통해 융성했던 고대로마의 도시생활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문화관광지로 자리매김했습니다.

3. (1949) NATO 창설 서명

나토 즉 북대서양조약기구가 1949년 오늘 서명식을 갖고 창설됐습니다.

트루먼 미국대통령은 동유럽에 진출한 소련의 군사력과 균형을 맞추기 위해 미국과 캐나다 영국, 프랑스, 포르투갈 등이 힘을 합쳐야한다고 말했습니다.

어느 한 국가에 대한 침략은 모든 국가에 대한 침략으로 간주한다는 원칙이 세워졌습니다.

이러한 공동방위원칙은 미국의 참여 속에 북유럽은 물론 서유럽까지 견고한 공동 방위력을 갖게 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는 1940년대의 서유럽이 경제와 정치적으로 취약했었고 미국이 냉전시대 소련의 군사력을 견제할 필요성이 맞아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나토는 1980년대 말 소련이 붕괴하자 군사동맹에서 벗어나 유럽의 안정을 위한 정치기구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1999년에는 체코, 폴란드, 헝거리등 동유럽국가들도 회원으로 가입했습니다.

4. (1968) 마틴 루터 킹목사 사망

흑인민권운동을 위해 헌신한 미국의 마틴 루터 킹목사가 1968년 오늘 백인청년 얼레이에 의해 살해당했습니다.

킹목사가 살해되자 미국의 41개주에서는 흑인폭동이 일어났습니다.

흑인노예는 해방되지 않았으며 흑백차별의 족쇄는 아직도 흑인들에게 자유를 핍박하는 형틀로서 채워져있다는 킹목사의 어록은 흑인인권운동에 불을 지폈습니다.

비폭력 무저항이라는 철학으로 흑인민권운동을 이끌었던 킹목사는 시내버스의 흑인 차별화에 항의하여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운동을 펼쳤으며 테네시주 멤피스에서 흑인청소부의 파업을 지원하다 변을 당했습니다.

킹목사는 암살당하기까지 흑인이 백인과 동등한 시민권을 얻어내기 위해 공민권운동을 추진했으며 1964년에는 노벨평화상을 받았습니다.

킹목사의 장례식에는 험프리부통령과 닉슨전대통령이 참석해 고인에게 애도를 표했습니다.

5. (1974) 영국, 골드 하인드호 재현

템즈강을 달리는 이배는 금사슴이라고 불리는 골드 하인드호로 옛 모습을 재현한 것입니다.

골드하인드호는 400년 전 제국주의 시절 영국의 해상권을 지휘했던 드레이크가 제작해 탔던 배입니다.

드레이크는 이배로 보물선을 약탈해 전리품을 챙긴 뒤 태평양과 인도양, 희망봉을 돌아 귀환해 영국시민들을 열광시켰습니다.

400년전과 같은 모습과 규모로 재현된 골드 하인드호는 런던을 출발해 미국의 샌프란시스코까지 항해를 하게 됩니다.

드레이크가 북미대륙에 첫 발을 내딛은 것을 상징적으로 기념하기 위한 것으로서 400년전의 배 성능으로 또다시 미국까지 대장정을 성공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졌습니다.

6. (1959) 60만년전 인간 유골

60만년전 인류 조상의 하나인 화석유골이 아프리카 탄자니아에서 발견됐습니다.

발굴을 주도한 인류학자 로이스 리키박사는 현대인류와 60만년전 고대인류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 화석유골은 비교적 완벽한 상태로 발견됐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북경원인의 치아에서 분석된 식인습관과 같은 또 다른 생활차이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고고학자들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7. B . G

(1481) 동국여지승람 편찬

(1882) 한・미 통상조약 체결

(1983) 미국 우주왕복선 챌린저호 발사

(1904) 시인 이육사 출생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