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난리 난리" 엔비디아 하루 종일 롤러코스터...AI 거품론 불붙었다

[자막뉴스] "난리 난리" 엔비디아 하루 종일 롤러코스터...AI 거품론 불붙었다

2025.11.22. 오후 2:4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의 금리인하 시사 발언이 뉴욕 증시에 훈풍을 부른데 이어 엔비디아 관련 보도가 상승세를 더욱 부채질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 GPU인 H200 칩의 중국 판매를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2022년부터 취하고 있는 첨단 반도체 수출 규제 조치의 일부 해제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는 겁니다.

H200 칩은 최신 사양인 블랙웰을 적용한 B200보다는 뒤처졌지만, 현재 중국 수출이 가능한 H20 보다는 뛰어난 성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수출에 대한 미국의 태도 변화는 중국과의 긴장 완화에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블룸버그 보도가 나온 뒤 뉴욕 증시는 더욱 상승 탄력을 받았습니다.

다우 지수가 1% 넘게 오르고 S&P500과 나스닥도 1% 가까이 상승 마감했습니다.

미국 보스턴에 있는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GMO는 거듭 '인공지능 거품'을 경고했습니다.

"AI는 지금 가격도 너무 높고 투기적 움직임도 뚜렷해 전형적인 거품처럼 보인다"는 겁니다.

다만 투자자들은 거품 불안에도 그걸 확신하지는 못하는 만큼 '시장 가격이 원래 이렇겠지' 하고 받아 들이는 분위기라고 평가했습니다.

이 때문에 엔비디아 주가는 하루 종일 롤러코스터를 탔습니다.

장중 4% 넘게 급락 뒤 대중 수출 규제 완화 보도로 2% 급등했지만 'AI 거품' 우려로 다시 1% 하락 마감했습니다.

AI 거품론으로 나스닥 지수는 최고점 대비 절반 이상을 반납하며 마무리했습니다.

미국 경제방송 CNBC가 구글 보고서를 입수해 보도한 내용입니다.

아민 바흐다트 구글 클라우드 부사장이 앞으로 인공지능 수요에 맞추려면 AI 컴퓨팅 용량을 6개월마다 2배씩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따라 향후 4∼5년 뒤에는 AI 컴퓨팅 용량이 지금의 천배는 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데이터센터 등 물리적 인프라의 확충 뿐 아니라 자체 개발 AI 칩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AI 처리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순다 피차이 구글 CEO도 'AI 거품' 논란을 언급하며 과잉 투자를 걱정하는 한 직원의 질문에 "이런 시기에는 투자 부족의 위험이 매우 크다"며 우려를 일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금까지 국제부에서 YTN 권준기 입니다.


영상편집ㅣ문지환
자막뉴스ㅣ이미영 최예은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