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뉴욕 증시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지수는 0.84%, 대형주 중심의 S&P 500 지수는 1.56%,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15% 하락했습니다.
AI 장비의 감가상각 논란과 AI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공급 우려 등이 여전한 가운데 차익 실현 매물이 늘면서 약세로 반전한 겁니다.
AI 관련 주의 고평가 논란이 이어지자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 리사 쿡 이사는 고평가된 금융 자산의 가격 하락 위험을 경고했습니다.
[리사 쿡 / 연방준비제도 이사 : 전반적인 시장 자산 가치가 높게 평가됐습니다. 고평가된 자산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물가 인상은 물론, 고용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조짐도 나타났습니다.
미국에서 2주 이상 일자리를 찾지 못한 실업 수당 청구자가 197만 4천 명으로 한 주 전보다 2만 8천 명 늘며 4년 만에 최대 수준으로 늘어났습니다.
계속 실업 수당 청구의 증가는 실업 후 새 일자리를 바로 찾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었음을 의미합니다.
최근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연구에선 관세가 4%p 오르면 실업률이 1%p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유통업체 월마트가 3분기에 매출이 5.8% 증가하는 등 탄탄한 실적을 발표한 것도 경기 둔화의 조짐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월마트는 낮은 가격에 필수품을 판매하는 가치 지향적인 소매업체로 인식되는 만큼, 경제가 어려울 때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월마트의 실적 호조는 미국 소비자들이 인플레이션과 고금리에 압박을 느껴 소비 심리가 위축돼 지출을 최소화하려고 가성비를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촬영기자 | 최고은
화면제공 | 사로스 금융시장·정책 센터
자막뉴스 | 이 선 안진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AI 장비의 감가상각 논란과 AI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공급 우려 등이 여전한 가운데 차익 실현 매물이 늘면서 약세로 반전한 겁니다.
AI 관련 주의 고평가 논란이 이어지자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 리사 쿡 이사는 고평가된 금융 자산의 가격 하락 위험을 경고했습니다.
[리사 쿡 / 연방준비제도 이사 : 전반적인 시장 자산 가치가 높게 평가됐습니다. 고평가된 자산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물가 인상은 물론, 고용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조짐도 나타났습니다.
미국에서 2주 이상 일자리를 찾지 못한 실업 수당 청구자가 197만 4천 명으로 한 주 전보다 2만 8천 명 늘며 4년 만에 최대 수준으로 늘어났습니다.
계속 실업 수당 청구의 증가는 실업 후 새 일자리를 바로 찾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었음을 의미합니다.
최근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연구에선 관세가 4%p 오르면 실업률이 1%p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유통업체 월마트가 3분기에 매출이 5.8% 증가하는 등 탄탄한 실적을 발표한 것도 경기 둔화의 조짐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월마트는 낮은 가격에 필수품을 판매하는 가치 지향적인 소매업체로 인식되는 만큼, 경제가 어려울 때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월마트의 실적 호조는 미국 소비자들이 인플레이션과 고금리에 압박을 느껴 소비 심리가 위축돼 지출을 최소화하려고 가성비를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촬영기자 | 최고은
화면제공 | 사로스 금융시장·정책 센터
자막뉴스 | 이 선 안진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자막뉴스] 트럼프 자업자득...서서히 퍼지는 곡소리](https://image.ytn.co.kr/general/jpg/2025/1121/202511210808424880_t.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