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우리 정부가 동북아시아 3국 표기를 한국·중국·일본 순서의 '한·중·일'로 일원화하기로 한 것을 두고 중국 관영 매체들이 균형 잡힌 조치라며 환영했습니다.
중국 관영 영문지 글로벌타임스는 "이번 조치는 한국 정부가 중국과 관계 개선을 모색하려는 선의의 제스처로 보인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어,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이재명 정부의 이번 결정은 한국이 중국과의 관계를 중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전 정부의 일방적인 대미 동맹을 바로잡기 위한 균형 잡힌 움직임"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중국 관영 CCTV도 "윤석열 전 대통령 집권 당시 한국 정부는 '한·중·일' 표현을 '한·일·중'으로 변경했다"며 "이는 일본에 과도하게 편향돼 외교 균형의 원칙을 훼손했고 이제 혼란을 바로잡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라는 대통령실 관계자의 말을 함께 인용했습니다.
앞서 대통령실은 그동안 한·중·일과 한·일·중을 섞어 사용하던 상황을 정리하고 앞으로는 한·중·일로 공식 표기를 통일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자: 강정규
오디오: AI앵커
자막편집: 박해진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중국 관영 영문지 글로벌타임스는 "이번 조치는 한국 정부가 중국과 관계 개선을 모색하려는 선의의 제스처로 보인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어,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이재명 정부의 이번 결정은 한국이 중국과의 관계를 중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전 정부의 일방적인 대미 동맹을 바로잡기 위한 균형 잡힌 움직임"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중국 관영 CCTV도 "윤석열 전 대통령 집권 당시 한국 정부는 '한·중·일' 표현을 '한·일·중'으로 변경했다"며 "이는 일본에 과도하게 편향돼 외교 균형의 원칙을 훼손했고 이제 혼란을 바로잡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라는 대통령실 관계자의 말을 함께 인용했습니다.
앞서 대통령실은 그동안 한·중·일과 한·일·중을 섞어 사용하던 상황을 정리하고 앞으로는 한·중·일로 공식 표기를 통일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자: 강정규
오디오: AI앵커
자막편집: 박해진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