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더불어민주당 이언주 최고위원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외신 인터뷰에서 통화정책 방향 전환 가능성을 언급한 것을 두고 "경솔하다"고 비판했습니다.
이 의원은 어제 페이스북에서 "한은 총재의 경솔한 말 한마디로 지난 주말 국내 채권, 주식, 외환시장이 모두 난리가 났다"며 "외국에서도 중앙은행 총재가 금리문제에 대해 이렇게까지 직설적으로 발언하는 경우는 보지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총재는 지난 12일 블룸버그TV와 인터뷰에서 '금리 인하의 규모와 시기, 심지어 방향 전환 여부까지 우리가 보게 될 새로운 데이터에 달려있게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는데, 특히 '방향 전환'(even the change of direction)이라는 어구가 시장 불안의 트리거로 작용했습니다.
이 발언은 금리 인하 중단 또는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돼 국내 채권시장에서 1년물을 제외한 모든 국고채 금리가 연중 최고점을 찍었습니다.
기준금리 인하의 가능성이 희박해진다는 인식이 퍼진 상황에 자칫 매파 기조로의 전환 메시지로 들릴 수 있는 말이 한은 총재에게서 나와 국고채 수요가 미끄럼틀을 탄 것인데, 기준금리 인상은 통상 국고채 가격을 낮추는 악재로 꼽힙니다.
이 의원은 "'금리인하를 중단한다'도 아니고 '인상 기조로 전환할 수 있다'는 말은 한은 총재 발언으로는 너무 나간 것"이라며 "이번 발언으로 아마도 많은 국내 투자자가 손실을 보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게다가 외환시장에의 개입 의지도 표명했는데 기획재정부 장관도 아닌 한은 총재가 그런 말을 한 건 선을 넘는 것"이라고도 했습니다
앞서 이 총재가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기조로 해석될 수 있는 '충격 발언'을 내놓으면서 후폭풍이 잇따르자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가 부랴부랴 진화에 나섰지만,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미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 의원은 어제 페이스북에서 "한은 총재의 경솔한 말 한마디로 지난 주말 국내 채권, 주식, 외환시장이 모두 난리가 났다"며 "외국에서도 중앙은행 총재가 금리문제에 대해 이렇게까지 직설적으로 발언하는 경우는 보지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총재는 지난 12일 블룸버그TV와 인터뷰에서 '금리 인하의 규모와 시기, 심지어 방향 전환 여부까지 우리가 보게 될 새로운 데이터에 달려있게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는데, 특히 '방향 전환'(even the change of direction)이라는 어구가 시장 불안의 트리거로 작용했습니다.
이 발언은 금리 인하 중단 또는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돼 국내 채권시장에서 1년물을 제외한 모든 국고채 금리가 연중 최고점을 찍었습니다.
기준금리 인하의 가능성이 희박해진다는 인식이 퍼진 상황에 자칫 매파 기조로의 전환 메시지로 들릴 수 있는 말이 한은 총재에게서 나와 국고채 수요가 미끄럼틀을 탄 것인데, 기준금리 인상은 통상 국고채 가격을 낮추는 악재로 꼽힙니다.
이 의원은 "'금리인하를 중단한다'도 아니고 '인상 기조로 전환할 수 있다'는 말은 한은 총재 발언으로는 너무 나간 것"이라며 "이번 발언으로 아마도 많은 국내 투자자가 손실을 보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게다가 외환시장에의 개입 의지도 표명했는데 기획재정부 장관도 아닌 한은 총재가 그런 말을 한 건 선을 넘는 것"이라고도 했습니다
앞서 이 총재가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기조로 해석될 수 있는 '충격 발언'을 내놓으면서 후폭풍이 잇따르자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가 부랴부랴 진화에 나섰지만,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미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