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핵잠' 두고 트럼프가 내건 조건...만만찮은 변수들

[자막뉴스] '핵잠' 두고 트럼프가 내건 조건...만만찮은 변수들

2025.11.05. 오후 5:3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은 우리나라의 원자력 추진 잠수함 도입에 협력하겠다며 미 국무부와 에너지부를 함께 거론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승인한 만큼 최선을 다해 돕겠지만, 미국 정부 안에서도 협상 상대가 더 있단 걸 시사한 겁니다.

[피트 헤그세스 / 미국 국방부 장관 (4일) : 세부적인 승인 사항까지는 제 소관이 아닙니다. 제가 협상의 모든 측면을 다루지 않아도 돼 만족스럽습니다.]

실제 한미 국방장관 회의 이후 예정됐던 관세·안보 분야 '팩트 시트'와 공동성명 발표도 미국 정부부처 간 조율이 안 돼 미뤄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정부는 원자력 추진 잠수함을 도입하려면 군사적 목적의 핵연료 사용을 제한한 한미 원자력 협정과 별도의 협정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안규백 / 국방부 장관 : 원자력 잠수함과 또 여러 가지 협정, 이런 문제들이 좀 미국 자체 내에서 여러 정부부처 내에서 조율이 필요해서….]

미국을 설득한다 해도 국제원자력기구, IAEA의 검증은 넘어야 할 또 다른 산입니다.

핵확산 금지조약, NPT에 따라 핵연료를 정말 평화적 목적으로만 쓰는 건지 까다로운 심사를 거쳐야 하는 겁니다.

미국·영국과 안보동맹을 맺고 핵잠수함 도입을 추진하는 호주도 쇠락한 미국 조선업과 IAEA와의 협의 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 당시 미국 대통령 (2023년 3월) : (호주에 판매할 잠수함은) 핵연료로 움직이는 것이지 핵무기가 아닙니다. 호주는 자랑스러운 비핵 국가이고 그 노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우리나라는 잠수함 건조 시설이 없는 미국 필리조선소를 활용하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도 받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현지 여건을 고려하면 국내 건조가 합당하다면서도 한미 간 조율할 사안이 많아 당장 내년도 예산안에 잠수함 예산을 편성하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YTN 나혜인입니다.


촬영기자ㅣ우영택
영상편집ㅣ최연호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