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청계천 산책길에서 발견된 인조 슬레이트 조각에서는 법정 기준치의 최대 11배에 달하는 석면이 검출됐습니다.
청계천 전체 구간 11km 가운데 4㎞ 넘는 구간에서 기준치 이상의 석면을 함유한 인조 슬레이트 조각 40개가 발견됐는데, 석면이 폐암 등을 유발하는 '1급 발암물질'인 만큼 실제 청계천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건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가 최대 관심인 상황.
전문가들은 이런 인조 슬레이트가 잘게 부서지거나 사람들에게 밟히는 등 외부 충격이 발생하면 석면 입자가 공기 중에 날아다닐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최소 10여 년 전부터는 건축물에 석면 함유 슬레이트 사용이 금지된 만큼, 현재 발견되는 조각들은 그사이 풍화가 진행돼 작은 압력에도 쉽게 바스러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백도명 / 서울대 보건대학원 명예교수 : 시간이 지나면서 마모돼서 내지는 변성이 돼서 나오는 석면 가루들이 공기에 휘말리고 내지는 많이 나올 수 있는 환경이 되긴 할 겁니다.]
[이 승 현 / 경희대 호흡기내과 교수 : 발로 차거나 하면서 먼지가 확 날리고 애들이 뭐 떼서 집에 가져가거나 그렇게 되면 이제 문제가 될 수도 있죠.]
특히 청계천에서 주기적으로 달리기하는 등 노출 빈도가 높을수록 위험성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임종한 /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 석면 쓰레기가 많이 방치돼있는 지역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일반 시민들한테서 위험이 더 문제다….]
[백도명 / 서울대 보건대학원 명예교수 : (청계천을 매일 올 경우에는) 석면 광산 지역에 사는 것과 비슷할 수도 있겠네요.]
다만 청계천이 야외 공간인 만큼 한두 번 노출로 유해하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A 대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이게 대기 중에 노출돼 있으니까 얼른 발견해서 치우기만 한다면 시민 건강하고는 큰 영향은 없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합니다.]
청계천을 자주 찾는 시민들은 걱정이 앞섭니다.
[최선주 / 서울 신설동 : 이 근처에서 러닝을 한 게 꽤 오래됐는데, 사실 조금 약간 불안하기도 하고….]
[김도순 / 서울 답십리동 : 강아지랑 산책도 나오고 주민분들이 많이 나오시는데 (석면이) 있다 하면 많이 걱정되죠.]
서울시는 청계천 일대에 석면 조각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파악이 쉽지 않은 만큼 전체 구간에 대한 조사를 이어갈 방침입니다.
YTN 정영수입니다.
영상기자 | 이율공
자막뉴스 | 이미영 안진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청계천 전체 구간 11km 가운데 4㎞ 넘는 구간에서 기준치 이상의 석면을 함유한 인조 슬레이트 조각 40개가 발견됐는데, 석면이 폐암 등을 유발하는 '1급 발암물질'인 만큼 실제 청계천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건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가 최대 관심인 상황.
전문가들은 이런 인조 슬레이트가 잘게 부서지거나 사람들에게 밟히는 등 외부 충격이 발생하면 석면 입자가 공기 중에 날아다닐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최소 10여 년 전부터는 건축물에 석면 함유 슬레이트 사용이 금지된 만큼, 현재 발견되는 조각들은 그사이 풍화가 진행돼 작은 압력에도 쉽게 바스러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백도명 / 서울대 보건대학원 명예교수 : 시간이 지나면서 마모돼서 내지는 변성이 돼서 나오는 석면 가루들이 공기에 휘말리고 내지는 많이 나올 수 있는 환경이 되긴 할 겁니다.]
[이 승 현 / 경희대 호흡기내과 교수 : 발로 차거나 하면서 먼지가 확 날리고 애들이 뭐 떼서 집에 가져가거나 그렇게 되면 이제 문제가 될 수도 있죠.]
특히 청계천에서 주기적으로 달리기하는 등 노출 빈도가 높을수록 위험성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임종한 /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 석면 쓰레기가 많이 방치돼있는 지역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일반 시민들한테서 위험이 더 문제다….]
[백도명 / 서울대 보건대학원 명예교수 : (청계천을 매일 올 경우에는) 석면 광산 지역에 사는 것과 비슷할 수도 있겠네요.]
다만 청계천이 야외 공간인 만큼 한두 번 노출로 유해하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A 대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이게 대기 중에 노출돼 있으니까 얼른 발견해서 치우기만 한다면 시민 건강하고는 큰 영향은 없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합니다.]
청계천을 자주 찾는 시민들은 걱정이 앞섭니다.
[최선주 / 서울 신설동 : 이 근처에서 러닝을 한 게 꽤 오래됐는데, 사실 조금 약간 불안하기도 하고….]
[김도순 / 서울 답십리동 : 강아지랑 산책도 나오고 주민분들이 많이 나오시는데 (석면이) 있다 하면 많이 걱정되죠.]
서울시는 청계천 일대에 석면 조각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파악이 쉽지 않은 만큼 전체 구간에 대한 조사를 이어갈 방침입니다.
YTN 정영수입니다.
영상기자 | 이율공
자막뉴스 | 이미영 안진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