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국민연금 기금이 2025년 8월 말까지 8.22%의 잠정 누적 수익률을 기록하며 순조로운 운용 성과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는 3년 평균 수익률(6.98%)과 1988년 기금 설립 이후 연평균 수익률(6.82%)을 모두 웃도는 양호한 성적입니다.
3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이런 성과를 이끈 일등 공신은 `국내주식` 부문입니다.
올해 8월 말 기준 자산별 성과 내용을 살펴보면, 국내주식 부문은 무려 36.4%에 달하는 `잭폿` 수준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전체 성과를 견인했습니다.
해외주식 부문 역시 8.61%의 견조한 수익률을 보태며 힘을 실었습니다.
반면, 다른 자산군들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국내채권은 2.85%의 수익을 내는 데 그쳤으며, 해외채권은 -1.64%로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기금의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해 비중을 늘려온 대체투자 자산은 0.13%의 수익률로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했습니다.
물론 이는 연말 공정가치 평가가 반영되기 전의 잠정 수치라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단기자금 역시 -0.73%의 손실을 냈습니다.
결과적으로 2025년 8월까지의 8.22%라는 성과는 국내주식이 홀로 이끌고 해외주식이 뒤를 받친 `비대칭적` 결과로 풀이됩니다.
주목할 점은 최근 기금운용인력 유출 등 `인력난`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운용 전문성이 빛을 발했다는 것입니다.
원화 기준 `초과성과 내용`을 보면 2025년 8월까지 국내주식, 해외주식, 국내채권, 해외채권 등 4대 주요 자산군 모두에서 시장기준 수익률인 `벤치마크(BM)`를 웃도는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국내주식은 벤치마크(35.47%) 대비 1.22%P 높은 36.68%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해외주식(0.30%P), 국내채권(0.12%P)도 벤치마크를 상회했습니다.
심지어 손실을 본 해외채권(-1.75%)조차 벤치마크(-2.14%)보다는 0.38%P 더 나은 성과(손실 폭 축소)를 거뒀습니다.
이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도 기금운용본부가 시장 흐름보다 한발 앞선 운용 전략으로 `알파(초과수익)`를 창출했음을 의미합니다.
수익률이 높아지면 기금 고갈 시점이 늦춰집니다.
지난 3월 통과된 연금개혁안에 따라 연금 고갈 시점이 2072년으로 기존보다 15년 늦춰진 배경은 보험료율 인상 외에 정부가 기금 목표수익률을 4.5%에서 5.5%로 1%포인트 높였기 때문입니다.
국민연금은 주식 투자 비중이 처음으로 40%를 웃돈 2019년부터 2020, 2022년을 제외하곤 모두 두 자릿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주식 투자 비중이 높을수록 주식시장이 급락할 경우 손실 가능성도 커질 수 있습니다.
긴축 국면으로 주식시장이 폭락한 2022년엔 -8.22%로 역대 최악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는 3년 평균 수익률(6.98%)과 1988년 기금 설립 이후 연평균 수익률(6.82%)을 모두 웃도는 양호한 성적입니다.
3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이런 성과를 이끈 일등 공신은 `국내주식` 부문입니다.
올해 8월 말 기준 자산별 성과 내용을 살펴보면, 국내주식 부문은 무려 36.4%에 달하는 `잭폿` 수준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전체 성과를 견인했습니다.
해외주식 부문 역시 8.61%의 견조한 수익률을 보태며 힘을 실었습니다.
반면, 다른 자산군들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국내채권은 2.85%의 수익을 내는 데 그쳤으며, 해외채권은 -1.64%로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기금의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해 비중을 늘려온 대체투자 자산은 0.13%의 수익률로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했습니다.
물론 이는 연말 공정가치 평가가 반영되기 전의 잠정 수치라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단기자금 역시 -0.73%의 손실을 냈습니다.
결과적으로 2025년 8월까지의 8.22%라는 성과는 국내주식이 홀로 이끌고 해외주식이 뒤를 받친 `비대칭적` 결과로 풀이됩니다.
주목할 점은 최근 기금운용인력 유출 등 `인력난`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운용 전문성이 빛을 발했다는 것입니다.
원화 기준 `초과성과 내용`을 보면 2025년 8월까지 국내주식, 해외주식, 국내채권, 해외채권 등 4대 주요 자산군 모두에서 시장기준 수익률인 `벤치마크(BM)`를 웃도는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국내주식은 벤치마크(35.47%) 대비 1.22%P 높은 36.68%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해외주식(0.30%P), 국내채권(0.12%P)도 벤치마크를 상회했습니다.
심지어 손실을 본 해외채권(-1.75%)조차 벤치마크(-2.14%)보다는 0.38%P 더 나은 성과(손실 폭 축소)를 거뒀습니다.
이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도 기금운용본부가 시장 흐름보다 한발 앞선 운용 전략으로 `알파(초과수익)`를 창출했음을 의미합니다.
수익률이 높아지면 기금 고갈 시점이 늦춰집니다.
지난 3월 통과된 연금개혁안에 따라 연금 고갈 시점이 2072년으로 기존보다 15년 늦춰진 배경은 보험료율 인상 외에 정부가 기금 목표수익률을 4.5%에서 5.5%로 1%포인트 높였기 때문입니다.
국민연금은 주식 투자 비중이 처음으로 40%를 웃돈 2019년부터 2020, 2022년을 제외하곤 모두 두 자릿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주식 투자 비중이 높을수록 주식시장이 급락할 경우 손실 가능성도 커질 수 있습니다.
긴축 국면으로 주식시장이 폭락한 2022년엔 -8.22%로 역대 최악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투자는 국민연금처럼?...공격수 변신하더니 '잭팟' 터졌다 [지금이뉴스]](https://image.ytn.co.kr/general/jpg/2025/1104/202511041425318009_t.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