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삼성SDI가 테슬라와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공급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공급 규모는 3년에 걸쳐 3조원 이상으로 알려졌습니다.
삼성SDI는 4일 "(테슬라와) 배터리 공급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구체적으로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공시했습니다.
이는 전날 삼성SDI의 테슬라향 대규모 ESS 배터리 공급이 가까워졌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거래소가 조회공시를 요구한 데 따른 답변입니다.
보도에 따르면 삼성SDI는 테슬라에 최소 3년 동안 매년 10기가와트시(GWh) 안팎의 배터리 공급을 검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 계약으로만 1년에 1조원 이상의 매출액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삼성SDI를 비롯한 국내 배터리 셀 3사는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수요가 탄탄하게 성장하는 ESS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삼성SDI가 테슬라에 공급하게 될 배터리는 스텔란티스와의 미국 합작법인인 스타플러스에너지(SPE)에서 생산할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삼성SDI는 지난달 28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SPE 공장 라인을 ESS 배터리 생산을 위해 전환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올해에만 1조4천억원 이상의 영업손실이 쌓인 삼성SDI로서는 테슬라와의 계약이 현실화할 경우 실적 개선에 큰 도움을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공급 규모는 3년에 걸쳐 3조원 이상으로 알려졌습니다.
삼성SDI는 4일 "(테슬라와) 배터리 공급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구체적으로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공시했습니다.
이는 전날 삼성SDI의 테슬라향 대규모 ESS 배터리 공급이 가까워졌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거래소가 조회공시를 요구한 데 따른 답변입니다.
보도에 따르면 삼성SDI는 테슬라에 최소 3년 동안 매년 10기가와트시(GWh) 안팎의 배터리 공급을 검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 계약으로만 1년에 1조원 이상의 매출액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삼성SDI를 비롯한 국내 배터리 셀 3사는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수요가 탄탄하게 성장하는 ESS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삼성SDI가 테슬라에 공급하게 될 배터리는 스텔란티스와의 미국 합작법인인 스타플러스에너지(SPE)에서 생산할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삼성SDI는 지난달 28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SPE 공장 라인을 ESS 배터리 생산을 위해 전환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올해에만 1조4천억원 이상의 영업손실이 쌓인 삼성SDI로서는 테슬라와의 계약이 현실화할 경우 실적 개선에 큰 도움을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