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청계천 산책길에 부모 손을 잡은 아이가 지나고 운동 나온 시민들이 뛰어다닙니다.
그런데 이들이 오가는 길 바로 옆에 손가락 크기의 회색 조각들이 보입니다.
과거 건물 지붕 등에 쓰였던 인조 슬레이트 조각으로, 여기 포함된 석면이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되면서 10여 년 전부터는 사용이 전면 금지됐습니다.
가벼운 석면 섬유 입자가 공기 중에 떠다니다 인체에 쌓이면 거의 배출되지 않고 암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인데, 이런 이유로 석면은 '죽음의 먼지'로도 불립니다.
실제로 YTN 취재진이 청계천 산책길 주변에서 주운 인조 슬레이트 조각 3개를 전문 기관에 의뢰해 분석해 보니,
과거 건축 자재에 널리 쓰였던 백석면이 각각 9%에서 최대 11% 함유돼 있었습니다.
[박현승 / 샘석면환경연구원 : 세 개의 슬레이트 시료에는 백석면이 모두 검출되었고요. 1%가 넘는다고 판단되었을 때 저희가 시야 평가법으로….]
현행 산업안전보건법은 석면이 1% 이상 들어있는 물질의 제조와 수입 등을 금지하고 있는데, 법정 기준치의 최대 11배에 달하는 석면이 검출된 겁니다.
문제는 이렇게 기준치 넘는 석면을 포함한 슬레이트가 산책길 곳곳에 방치돼 있다는 겁니다.
청계천 주변에서 직접 주운 슬레이트 조각입니다.
얼핏 보면 그냥 돌멩이처럼 보이는데요.
부서진 단면에 이렇게 하얀색으로 보이는 부분이 모두 석면입니다.
YTN은 한국석면건축물안전관리협회의 도움을 받아 청계천 산책길에서 석면을 함유한 인조 슬레이트 조각이 발견된 위치를 지도에 표시해 봤습니다.
종로에서 성동까지, 11㎞ 가까운 청계천 전체 구간 가운데 4㎞ 넘는 구간에 걸쳐 40개 가까운 석면 조각이 발견됐습니다.
석면 함유량은 8~15%에 달했습니다.
[황경욱 / 한국석면건축물안전관리협회 이사 : 이런 산책로에 슬레이트 조각이 있을 거라고는 정말 뭐 상상할 수 없는 것이죠. 지정 폐기물이 널브러져 있다. 이것은 문제가 심각한 것이죠.]
청계천 관리 주체인 서울시가 관련 조사에 착수한 가운데, 석면 조각의 빠른 수거와 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YTN 정영수입니다.
영상기자ㅣ이율공
디자인ㅣ권향화
자막뉴스ㅣ이 선
청계천 주변에 비닐장갑을 끼고 모인 사람들이 풀숲에서 인조 슬레이트 조각을 골라내 봉투에 담습니다.
서울시설공단 청계천관리처와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이 청계천 주변에서 발견되는 석면 함유 슬레이트 조각에 대한 합동 조사를 벌였습니다.
앞서 YTN과 한국석면건축물안전관리협회는 청계천 산책로 주변에서 석면이 들어있는 슬레이트 조각 40개를 수거했는데, 얼마나 더 많은 조각이 방치돼 있는지는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전문가들은 청계천 전체 구간에 대한 정밀 점검과 빠른 처리가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김재열 / 중앙대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 : 접근하지 못하게 줄이라도 치든지 한 다음에 그것보다도 이제 빨리 회수해서 매몰하는 게 제일 좋을 것 같고요.]
조치 과정에서도 주의를 당부했는데, 미세한 석면 가루가 주변에 흩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조원철 / 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명예교수 :ㅖ 산책로에 있는 것은 쓸어담다가 보면 날아오르거든. 날아오르면 시민들 코에 또 들어가요. 그래서 문제가 생길 수가 있어요.]
특히, 석면 함유 슬레이트가 있던 곳 주변 공기가 오염됐는지도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임종한 / 인하대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 펌프를 이용해서요. 거기 공기를 갖다가 채집해서 거기에 얼마큼 석면 입자가 나왔는지 카운트를 하는 거죠.]
앞서 지난달 1일, 청계천 주변에서 석면 슬레이트가 발견됐다는 사실이 환경단체를 통해 알려졌습니다.
다음 날 서울시 측은 현장 조사를 통해 의심 물체 2조각을 발견해 감정을 의뢰했습니다.
하지만 청계천 전체에 대한 본격적인 점검은 지난달 24일이 돼서야 시작됐고, 그 사이에도 곳곳에서 석면 슬레이트 조각 수십 개가 발견됐습니다.
서울시 대응이 늦은 거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시에서는 제초작업을 통해 남아 있는 석면 슬레이트를 철저히 회수하고, 전문 기관과 협의해 위험성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정호 / 서울시설공단 청계천관리처 시설팀장 : 청계천이 쾌적하게 관리되도록 수시로 점검하고 정비해서 문제없게 하겠습니다.]
뒤늦게 철저한 조사를 약속한 서울시, 시민 불안을 달랠 수 있는 충분한 조치가 진행되는지는 계속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양동훈입니다.
영상기자ㅣ심관흠 이율공
디자인ㅣ임샛별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그런데 이들이 오가는 길 바로 옆에 손가락 크기의 회색 조각들이 보입니다.
과거 건물 지붕 등에 쓰였던 인조 슬레이트 조각으로, 여기 포함된 석면이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되면서 10여 년 전부터는 사용이 전면 금지됐습니다.
가벼운 석면 섬유 입자가 공기 중에 떠다니다 인체에 쌓이면 거의 배출되지 않고 암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인데, 이런 이유로 석면은 '죽음의 먼지'로도 불립니다.
실제로 YTN 취재진이 청계천 산책길 주변에서 주운 인조 슬레이트 조각 3개를 전문 기관에 의뢰해 분석해 보니,
과거 건축 자재에 널리 쓰였던 백석면이 각각 9%에서 최대 11% 함유돼 있었습니다.
[박현승 / 샘석면환경연구원 : 세 개의 슬레이트 시료에는 백석면이 모두 검출되었고요. 1%가 넘는다고 판단되었을 때 저희가 시야 평가법으로….]
현행 산업안전보건법은 석면이 1% 이상 들어있는 물질의 제조와 수입 등을 금지하고 있는데, 법정 기준치의 최대 11배에 달하는 석면이 검출된 겁니다.
문제는 이렇게 기준치 넘는 석면을 포함한 슬레이트가 산책길 곳곳에 방치돼 있다는 겁니다.
청계천 주변에서 직접 주운 슬레이트 조각입니다.
얼핏 보면 그냥 돌멩이처럼 보이는데요.
부서진 단면에 이렇게 하얀색으로 보이는 부분이 모두 석면입니다.
YTN은 한국석면건축물안전관리협회의 도움을 받아 청계천 산책길에서 석면을 함유한 인조 슬레이트 조각이 발견된 위치를 지도에 표시해 봤습니다.
종로에서 성동까지, 11㎞ 가까운 청계천 전체 구간 가운데 4㎞ 넘는 구간에 걸쳐 40개 가까운 석면 조각이 발견됐습니다.
석면 함유량은 8~15%에 달했습니다.
[황경욱 / 한국석면건축물안전관리협회 이사 : 이런 산책로에 슬레이트 조각이 있을 거라고는 정말 뭐 상상할 수 없는 것이죠. 지정 폐기물이 널브러져 있다. 이것은 문제가 심각한 것이죠.]
청계천 관리 주체인 서울시가 관련 조사에 착수한 가운데, 석면 조각의 빠른 수거와 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YTN 정영수입니다.
영상기자ㅣ이율공
디자인ㅣ권향화
자막뉴스ㅣ이 선
청계천 주변에 비닐장갑을 끼고 모인 사람들이 풀숲에서 인조 슬레이트 조각을 골라내 봉투에 담습니다.
서울시설공단 청계천관리처와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이 청계천 주변에서 발견되는 석면 함유 슬레이트 조각에 대한 합동 조사를 벌였습니다.
앞서 YTN과 한국석면건축물안전관리협회는 청계천 산책로 주변에서 석면이 들어있는 슬레이트 조각 40개를 수거했는데, 얼마나 더 많은 조각이 방치돼 있는지는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전문가들은 청계천 전체 구간에 대한 정밀 점검과 빠른 처리가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김재열 / 중앙대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 : 접근하지 못하게 줄이라도 치든지 한 다음에 그것보다도 이제 빨리 회수해서 매몰하는 게 제일 좋을 것 같고요.]
조치 과정에서도 주의를 당부했는데, 미세한 석면 가루가 주변에 흩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조원철 / 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명예교수 :ㅖ 산책로에 있는 것은 쓸어담다가 보면 날아오르거든. 날아오르면 시민들 코에 또 들어가요. 그래서 문제가 생길 수가 있어요.]
특히, 석면 함유 슬레이트가 있던 곳 주변 공기가 오염됐는지도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임종한 / 인하대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 펌프를 이용해서요. 거기 공기를 갖다가 채집해서 거기에 얼마큼 석면 입자가 나왔는지 카운트를 하는 거죠.]
앞서 지난달 1일, 청계천 주변에서 석면 슬레이트가 발견됐다는 사실이 환경단체를 통해 알려졌습니다.
다음 날 서울시 측은 현장 조사를 통해 의심 물체 2조각을 발견해 감정을 의뢰했습니다.
하지만 청계천 전체에 대한 본격적인 점검은 지난달 24일이 돼서야 시작됐고, 그 사이에도 곳곳에서 석면 슬레이트 조각 수십 개가 발견됐습니다.
서울시 대응이 늦은 거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시에서는 제초작업을 통해 남아 있는 석면 슬레이트를 철저히 회수하고, 전문 기관과 협의해 위험성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정호 / 서울시설공단 청계천관리처 시설팀장 : 청계천이 쾌적하게 관리되도록 수시로 점검하고 정비해서 문제없게 하겠습니다.]
뒤늦게 철저한 조사를 약속한 서울시, 시민 불안을 달랠 수 있는 충분한 조치가 진행되는지는 계속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양동훈입니다.
영상기자ㅣ심관흠 이율공
디자인ㅣ임샛별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자막뉴스] 종로에서 성동까지...'1급 발암물질' 대거 발견된 청계천](https://image.ytn.co.kr/general/jpg/2025/1104/202511040730407971_t.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