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중국이 희토류 시장을 장악한 뒤 수출 통제 위협을 반복해 왔다며 신뢰할 수 없는 상대라고 잘라 말했습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 희토류 문제는 제대로 다뤄진 적이 없습니다. 중국이 시장을 장악했고, 안타깝게도 그들은 때때로 신뢰할 수 없는 파트너라는 걸 보여줬죠.]
중국이 다시 희토류 수출 통제에 나설 경우 미국도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 많다며 또 관세 부과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앞으로 1~2년 동안 초고속으로 공급망을 재편해 중국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계획도 내놨습니다.
현지 시간 5일 관세 적법성에 대한 미 연방 대법원의 첫 심리에 대해서도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지난달 초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발표와 펜타닐 미국 유입은 명백한 비상사태였다며 관세 부과가 적법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대규모 무역적자로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근거해 상호관세를 부과한 건 당연한 조치라는 겁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 저는 꽤 낙관적입니다.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통제하려 했지만 대통령은 IEEPA 권한을 사용해 맞설 수 있었습니다. 그것이 비상 사태의 비상권한 사용이 아니라면, 도대체 어떤 상황이 비상사태라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워싱턴 포스트와 ABC 뉴스의 최근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지지율은 33%로,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5%에 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 41%보다도 8%포인트 낮은 수치로 관세가 결국 미국 소비자들의 몫이 될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워싱턴에서 YTN 홍상희입니다.
영상편집ㅣ한경희
화면출처ㅣFOX News Sunday
자막뉴스ㅣ이미영 고현주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 희토류 문제는 제대로 다뤄진 적이 없습니다. 중국이 시장을 장악했고, 안타깝게도 그들은 때때로 신뢰할 수 없는 파트너라는 걸 보여줬죠.]
중국이 다시 희토류 수출 통제에 나설 경우 미국도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 많다며 또 관세 부과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앞으로 1~2년 동안 초고속으로 공급망을 재편해 중국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계획도 내놨습니다.
현지 시간 5일 관세 적법성에 대한 미 연방 대법원의 첫 심리에 대해서도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지난달 초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발표와 펜타닐 미국 유입은 명백한 비상사태였다며 관세 부과가 적법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대규모 무역적자로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근거해 상호관세를 부과한 건 당연한 조치라는 겁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 저는 꽤 낙관적입니다.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통제하려 했지만 대통령은 IEEPA 권한을 사용해 맞설 수 있었습니다. 그것이 비상 사태의 비상권한 사용이 아니라면, 도대체 어떤 상황이 비상사태라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워싱턴 포스트와 ABC 뉴스의 최근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지지율은 33%로,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5%에 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 41%보다도 8%포인트 낮은 수치로 관세가 결국 미국 소비자들의 몫이 될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워싱턴에서 YTN 홍상희입니다.
영상편집ㅣ한경희
화면출처ㅣFOX News Sunday
자막뉴스ㅣ이미영 고현주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