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난 달 29일 극적으로 타결된 한미 관세협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산 김해국제공항에 도착하기 직전까지도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협상의 최대 쟁점이던 대미투자펀드 연간 상한선이 확정된 데에는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의 ‘배수진’ 전략이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달 30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29일 트럼프 대통령이 탄 에어포스원이 일본에서 한국으로 이동하는 동안 김 장관과 러트닉 장관이 문자로 협상을 이어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 장관의 '최후통첩' 메시지를 받은 러트닉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를 보고했고 미국 측은 수용 여부를 기내에서 고심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김 장관을 가리켜 “터프 네고시에이터(강인한 협상가)”라고 언급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측은 공항 도착 직전까지 확답을 미루다,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이 시작되기 직전 ‘연간 최대 200억달러 분납’ 제안을 수용하며 협상이 최종 타결됐습니다.
당초 미국은 250억달러, 한국은 150억달러를 주장하며 팽팽히 맞섰습니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 이날 인터뷰에서 “그저께 밤만 해도 낙관할 수 없었지만, 어제 점심쯤 극적으로 합의가 이뤄졌다”고 전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협상의 최대 쟁점이던 대미투자펀드 연간 상한선이 확정된 데에는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의 ‘배수진’ 전략이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달 30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29일 트럼프 대통령이 탄 에어포스원이 일본에서 한국으로 이동하는 동안 김 장관과 러트닉 장관이 문자로 협상을 이어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 장관의 '최후통첩' 메시지를 받은 러트닉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를 보고했고 미국 측은 수용 여부를 기내에서 고심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김 장관을 가리켜 “터프 네고시에이터(강인한 협상가)”라고 언급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측은 공항 도착 직전까지 확답을 미루다,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이 시작되기 직전 ‘연간 최대 200억달러 분납’ 제안을 수용하며 협상이 최종 타결됐습니다.
당초 미국은 250억달러, 한국은 150억달러를 주장하며 팽팽히 맞섰습니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 이날 인터뷰에서 “그저께 밤만 해도 낙관할 수 없었지만, 어제 점심쯤 극적으로 합의가 이뤄졌다”고 전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