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일본에서 한국으로 넘어오는 비행기 안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한 반응을 질문받았습니다.
수차례 만나자는 제의에도 미사일 발사로 화답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모르겠습니다. 김정은은 수십 년간 미사일을 발사해왔고 단지 또 다른 미사일을 발사했을 뿐입니다. 그와의 관계는 항상 좋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초점은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의 정상회담이 될 거라면서도 김정은 위원장과 회담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않았습니다.
다만 시점은 머지않은 미래가 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중국에 초점을 맞추고 싶습니다. 내일 초점은 중국에 집중할 겁니다. 하지만 우리는 돌아올 것이며 어느 시점에, 너무 머지않은 미래에 북한과 만날 것입니다.]
이 같은 발언은 1박 2일인 이번 방한 기간에 김 위원장과 만나기는 쉽지 않다는 인식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됩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은 '일종의 핵보유국'이고 제재 문제도 논의할 수 있다며 잇따라 북한에 유인책을 던졌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트럼프 방문일에 맞춘 미사일 발사는 대화를 거부하는 신호라고 해석했습니다.
[박원곤 /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현재로써는 만날 가능성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 게 이 정도까지 미사일을 발사하면 도발이지 않습니까? 이런 도발을 하면서 회담을 한다는 것은 사실상 양립할 수 없는 거죠.]
워싱턴 포스트는 트럼프의 회동 제안에 즉각 반응했던 2019년과는 북한의 위치가 달라졌다고 분석했습니다.
핵무기를 50기나 보유한 데다 중국, 러시아와 관계 강화로 외교적으로 완전히 고립된 상태도 아니라는 겁니다.
그러면서 가자지구 휴전을 이끌었던 트럼프의 비정통적 외교 방식이 한반도에서도 통할 수 있을지 시험대에 올랐다고 관측했습니다.
YTN 권준기 입니다.
영상편집ㅣ한경희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수차례 만나자는 제의에도 미사일 발사로 화답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모르겠습니다. 김정은은 수십 년간 미사일을 발사해왔고 단지 또 다른 미사일을 발사했을 뿐입니다. 그와의 관계는 항상 좋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초점은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의 정상회담이 될 거라면서도 김정은 위원장과 회담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않았습니다.
다만 시점은 머지않은 미래가 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중국에 초점을 맞추고 싶습니다. 내일 초점은 중국에 집중할 겁니다. 하지만 우리는 돌아올 것이며 어느 시점에, 너무 머지않은 미래에 북한과 만날 것입니다.]
이 같은 발언은 1박 2일인 이번 방한 기간에 김 위원장과 만나기는 쉽지 않다는 인식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됩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은 '일종의 핵보유국'이고 제재 문제도 논의할 수 있다며 잇따라 북한에 유인책을 던졌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트럼프 방문일에 맞춘 미사일 발사는 대화를 거부하는 신호라고 해석했습니다.
[박원곤 /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현재로써는 만날 가능성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 게 이 정도까지 미사일을 발사하면 도발이지 않습니까? 이런 도발을 하면서 회담을 한다는 것은 사실상 양립할 수 없는 거죠.]
워싱턴 포스트는 트럼프의 회동 제안에 즉각 반응했던 2019년과는 북한의 위치가 달라졌다고 분석했습니다.
핵무기를 50기나 보유한 데다 중국, 러시아와 관계 강화로 외교적으로 완전히 고립된 상태도 아니라는 겁니다.
그러면서 가자지구 휴전을 이끌었던 트럼프의 비정통적 외교 방식이 한반도에서도 통할 수 있을지 시험대에 올랐다고 관측했습니다.
YTN 권준기 입니다.
영상편집ㅣ한경희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자막뉴스] 파격적 카드 꺼냈는데...'스트롱맨' 트럼프를 애태우는 남자](https://image.ytn.co.kr/general/jpg/2025/1029/202510291409522130_t.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