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경남교육청이 최근 유행하는 ‘골반춤 밈’을 활용한 홍보 영상을 공식 SNS에 게시했다가 여성을 성적으로 대상화했다는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지난 23일 경남교육청 공식 인스타그램에 문제의 영상이 게재됐습니다. 영상에는 검은색 미니 원피스와 부츠 차림의 여성이 침실로 보이는 공간에서 음악에 맞춰 골반을 흔드는 장면이 담겼습니다.
자막에는 “내 골반이 멈추지 않는 탓일까?”, “선택해 줘요” 등의 문구가 등장했고, 배경음악으로는 걸그룹 AOA의 ‘짧은 치마’가 사용됐습니다. 해시태그로는 ‘골반통신’, ‘골반이안멈추는병’ 등이 달렸습니다.
이 영상은 한 크리에이터가 만든 ‘골반이 멈추지 않는 병’ 밈을 패러디한 콘텐츠로 파악됐습니다. ‘골반춤 밈’은 걸그룹 AOA의 노래에 맞춰 골반을 양옆으로 끊임없이 흔드는 춤으로 중독성 있는 리듬과 따라 하기 쉬운 안무 등을 이유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경남교육청은 자체 홍보 채널인 ‘경남교육뉴스’를 알리기 위한 취지였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공교육 기관이 성적 함의를 지닌 밈을 활용한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제기됐습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남지부는 27일 성명을 내고 “해당 영상은 명백히 여성을 성적 대상화하고 공교육 기관의 품위를 심각하게 훼손했다”며 “유행 밈을 따라 조회수를 올리려는 혐오적 콘텐츠일 뿐”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여성을 대상화하는 복장을 입고 골반춤을 추는 행위는 교육청 공무원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노동권 침해 문제도 제기했습니다.
논란이 커지자 경남교육청은 영상을 삭제하고 사과문을 발표했습니다. 교육청은 28일 “밈을 활용해 경남교육 뉴스를 홍보하려는 순수한 의도였지만 표현 방식에 부적절한 점이 있었다”며 “교육 기관으로서 성평등과 인권 존중의 가치를 최우선에 뒀어야 했는데 불쾌감을 드린 점을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습니다.
또 “앞으로는 제작 과정에서 관련 규정 준수와 인권 침해 소지가 없도록 더욱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ㅣ최지혜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 23일 경남교육청 공식 인스타그램에 문제의 영상이 게재됐습니다. 영상에는 검은색 미니 원피스와 부츠 차림의 여성이 침실로 보이는 공간에서 음악에 맞춰 골반을 흔드는 장면이 담겼습니다.
자막에는 “내 골반이 멈추지 않는 탓일까?”, “선택해 줘요” 등의 문구가 등장했고, 배경음악으로는 걸그룹 AOA의 ‘짧은 치마’가 사용됐습니다. 해시태그로는 ‘골반통신’, ‘골반이안멈추는병’ 등이 달렸습니다.
이 영상은 한 크리에이터가 만든 ‘골반이 멈추지 않는 병’ 밈을 패러디한 콘텐츠로 파악됐습니다. ‘골반춤 밈’은 걸그룹 AOA의 노래에 맞춰 골반을 양옆으로 끊임없이 흔드는 춤으로 중독성 있는 리듬과 따라 하기 쉬운 안무 등을 이유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경남교육청은 자체 홍보 채널인 ‘경남교육뉴스’를 알리기 위한 취지였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공교육 기관이 성적 함의를 지닌 밈을 활용한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제기됐습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남지부는 27일 성명을 내고 “해당 영상은 명백히 여성을 성적 대상화하고 공교육 기관의 품위를 심각하게 훼손했다”며 “유행 밈을 따라 조회수를 올리려는 혐오적 콘텐츠일 뿐”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여성을 대상화하는 복장을 입고 골반춤을 추는 행위는 교육청 공무원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노동권 침해 문제도 제기했습니다.
논란이 커지자 경남교육청은 영상을 삭제하고 사과문을 발표했습니다. 교육청은 28일 “밈을 활용해 경남교육 뉴스를 홍보하려는 순수한 의도였지만 표현 방식에 부적절한 점이 있었다”며 “교육 기관으로서 성평등과 인권 존중의 가치를 최우선에 뒀어야 했는데 불쾌감을 드린 점을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습니다.
또 “앞으로는 제작 과정에서 관련 규정 준수와 인권 침해 소지가 없도록 더욱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ㅣ최지혜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