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런베뮤)에서 근무하던 20대 청년이 주 80시간에 달하는 장시간 노동 끝에 지난 7월 사망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27일 정의당은 '런던베이글뮤지엄은 청년 노동자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회피 말라'라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 "런베뮤에서 일하던 20대 청년이 주당 58시간에서 80시간에 달하는 과로에 시달리다가 지난 7월 숨졌다는 사실이 보도됐다"며 "작년 5월 입사 후 14개월 만이다"고 밝혔습니다.
정의당에 따르면 고인은 사망 전날 아침 9시에 출근해 자정 무렵 퇴근했으며, 사망 닷새 전에는 21시간 연속 근무하기도 했습니다.
정의당은 “급격히 늘어난 근로시간으로 인한 급성·만성 과로가 겹쳐 과로사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또 "고인의 근로계약서는 주14시간 이상 초과근로를 기준으로 작성되어 주 52시간 상한제를 위반하고 있고, 실제 근무 시간은 이보다도 훨씬 길다"며 "입사 후 14개월간 거쳐온 지점은 4곳이나 된다. 강남에서 수원으로, 다시 인천으로 옮겨 다니면서 근로계약서만 세 번 갱신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정의당에 따르면 고인의 유족은 산업재해를 신청했지만, 런베뮤 운영사 LBM 측은 근로시간 자료 제공을 거부하며 “회사 확인 기록은 유족 주장과 다르다”는 입장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 한 고위급 임원이 유족에게 “산재 신청은 굉장히 부도덕해 보인다”고 폭언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진보당 이미선 대변인도 “고인은 사망 전날 15시간 넘게 끼니도 거르며 일했고, 직전 주의 근로시간은 12주 평균보다 37% 늘었다”며 “런베뮤는 청년의 노동과 목숨을 브랜드의 원가로 삼은 기만적 기업”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한편 2021년 서울 안국동에서 문을 연 런던베이글뮤지엄은 현재 전국에 7개 매장을 운영 중입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출처ㅣ런던베이글뮤지엄 SNS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7일 정의당은 '런던베이글뮤지엄은 청년 노동자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회피 말라'라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 "런베뮤에서 일하던 20대 청년이 주당 58시간에서 80시간에 달하는 과로에 시달리다가 지난 7월 숨졌다는 사실이 보도됐다"며 "작년 5월 입사 후 14개월 만이다"고 밝혔습니다.
정의당에 따르면 고인은 사망 전날 아침 9시에 출근해 자정 무렵 퇴근했으며, 사망 닷새 전에는 21시간 연속 근무하기도 했습니다.
정의당은 “급격히 늘어난 근로시간으로 인한 급성·만성 과로가 겹쳐 과로사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또 "고인의 근로계약서는 주14시간 이상 초과근로를 기준으로 작성되어 주 52시간 상한제를 위반하고 있고, 실제 근무 시간은 이보다도 훨씬 길다"며 "입사 후 14개월간 거쳐온 지점은 4곳이나 된다. 강남에서 수원으로, 다시 인천으로 옮겨 다니면서 근로계약서만 세 번 갱신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정의당에 따르면 고인의 유족은 산업재해를 신청했지만, 런베뮤 운영사 LBM 측은 근로시간 자료 제공을 거부하며 “회사 확인 기록은 유족 주장과 다르다”는 입장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 한 고위급 임원이 유족에게 “산재 신청은 굉장히 부도덕해 보인다”고 폭언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진보당 이미선 대변인도 “고인은 사망 전날 15시간 넘게 끼니도 거르며 일했고, 직전 주의 근로시간은 12주 평균보다 37% 늘었다”며 “런베뮤는 청년의 노동과 목숨을 브랜드의 원가로 삼은 기만적 기업”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한편 2021년 서울 안국동에서 문을 연 런던베이글뮤지엄은 현재 전국에 7개 매장을 운영 중입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출처ㅣ런던베이글뮤지엄 SNS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