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에 설치한 구조물, 선란 2호입니다.
잠정조치수역은 한중 어업협정에 따라 양국이 공동 조업에 합의한 해역으로, 중국은 이곳에 설치한 구조물이 양식장이라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우리 군은 군사시설로 활용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강동길 / 해군참모총장 (23일) : 국제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영유권과 연관돼 있고, 그런 구조물들이 항해에 방해되는 건 사실입니다.]
중국은 지난 2월 서해 구조물을 조사하려는 우리 측 해양조사선의 접근을 가로막았습니다.
잠정조치수역 안팎엔 해양관측 명목으로 대형 부표들도 띄웠고, 지난봄엔 일방적으로 항행금지를 선포한 뒤 군사훈련까지 벌였습니다.
인공섬을 만들고 영유권을 주장하는 남중국해처럼 서해에서도 군사적 영향력을 키우려는 게 아니냔 의심이 드는 대목입니다.
[강동길 / 해군참모총장 (23일) : (중국 군함은) 2000년 이전까지만 해도 연해 쪽에, 자기 나라 쪽에 붙어 있다가 2000년 이후부터 2010년까지, 그 이후부터는 점점 활동 영역이 커지면서 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해군은 중국의 불법적 해양 활동에 비례적으로 대응한다는 원칙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과 중국을 동시에 견제해야 하는 부담이 있는 것도 현실입니다.
[강동길 / 해군참모총장 (23일) : 전투함이 부족해서 실질적으로 상륙함이나 군수지원함까지 나와서 이제 중국 해군에 대한 감시 임무를 하고 있습니다.]
한중 양국이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관계 개선을 모색하고 있지만, 중국의 일방 행동이 계속될 경우 걸림돌이 될 수 있단 우려가 나옵니다.
YTN 나혜인입니다.
촬영기자 ㅣ우영택
영상편집ㅣ최연호
디자인ㅣ정은옥
자막뉴스ㅣ이미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잠정조치수역은 한중 어업협정에 따라 양국이 공동 조업에 합의한 해역으로, 중국은 이곳에 설치한 구조물이 양식장이라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우리 군은 군사시설로 활용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강동길 / 해군참모총장 (23일) : 국제법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영유권과 연관돼 있고, 그런 구조물들이 항해에 방해되는 건 사실입니다.]
중국은 지난 2월 서해 구조물을 조사하려는 우리 측 해양조사선의 접근을 가로막았습니다.
잠정조치수역 안팎엔 해양관측 명목으로 대형 부표들도 띄웠고, 지난봄엔 일방적으로 항행금지를 선포한 뒤 군사훈련까지 벌였습니다.
인공섬을 만들고 영유권을 주장하는 남중국해처럼 서해에서도 군사적 영향력을 키우려는 게 아니냔 의심이 드는 대목입니다.
[강동길 / 해군참모총장 (23일) : (중국 군함은) 2000년 이전까지만 해도 연해 쪽에, 자기 나라 쪽에 붙어 있다가 2000년 이후부터 2010년까지, 그 이후부터는 점점 활동 영역이 커지면서 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해군은 중국의 불법적 해양 활동에 비례적으로 대응한다는 원칙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과 중국을 동시에 견제해야 하는 부담이 있는 것도 현실입니다.
[강동길 / 해군참모총장 (23일) : 전투함이 부족해서 실질적으로 상륙함이나 군수지원함까지 나와서 이제 중국 해군에 대한 감시 임무를 하고 있습니다.]
한중 양국이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관계 개선을 모색하고 있지만, 중국의 일방 행동이 계속될 경우 걸림돌이 될 수 있단 우려가 나옵니다.
YTN 나혜인입니다.
촬영기자 ㅣ우영택
영상편집ㅣ최연호
디자인ㅣ정은옥
자막뉴스ㅣ이미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