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에너지 무기화 시대...'탈원전' 독일, 벼랑 끝에 섰다

[자막뉴스] 에너지 무기화 시대...'탈원전' 독일, 벼랑 끝에 섰다

2025.10.26. 오후 2:2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평원 위에 우뚝 선 2개의 대형 구조물.

지축을 흔드는 굉음과 함께 하나씩 차례로 무너져 내립니다.

4년 전 가동을 멈춘 독일 군드레밍엔 원전의 냉각탑입니다.

40년 넘게 마을 풍경의 일부였던 냉각탑이 사라지는 순간을 지켜본 사람들의 반응은 제각각입니다.

[엘리자베스 코스톨니크 / 현장 관람 : 저한테는 정말 감동적인 순간이에요. 멋진 상징물이었는데 이제는 역사가 됐네요.]

[헨드릭 슈미드 / 현장 관람 : 사라진 것이 다행스럽다는 생각도 들지만 좀 슬픕니다. 냉각탑을 기념물로 남겨둘 수도 있지 않았을까 싶네요.]

냉각탑 폭파 해체를 위해 폭발물 600kg이 1,800개 시추공에 나뉘어 설치됐습니다.

전국 각지에서 이 광경을 직접 보기 위해 3만 명이 몰려들었습니다.

환경단체들은 반겼지만, '친원전' 단체들은 독일 정부의 에너지 정책 중 가장 큰 실수라며 시위를 벌였습니다.

[토비아스 부엘러 / 군데르밍엔 시장 : 오늘 원전에 반대하는 사람들과도, 찬성하는 사람들과도 대화를 나눴습니다. 분위기는 어디든 비슷합니다. 고향의 일부분이 사라지고 있다는 겁니다. 그것이 현 상황입니다.]

지난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 '탈원전'의 길을 가속화 한 독일은 10여 년에 걸쳐 원전 폐기를 마쳤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전 이후 러시아가 유럽에 대한 가스 공급을 줄이는 등 에너지를 무기화하자 상황이 급변했습니다.

벨기에가 원전의 단계적 폐지를 규정한 법률을 없앴고, 네덜란드가 원전 신설을 추진하는 등 각국이 속속 정책을 재검토하고 있습니다.

지난 3월 여론조사 결과 원전 가동에 찬성하는 독일 국민이 절반을 넘었습니다.

독일 정부는 아직 '탈원전' 정책의 전환을 언급하지 않고 있지만 명분과 현실 사이에서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YTN 이경아입니다.


영상편집ㅣ김현준
자막뉴스ㅣ이미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