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군이 지난달 2일(현지시간) 카리브해를 지나던 선박을 공격한 후, 베네수엘라 인근의 섬나라 트리니다드토바고의 해안에 의문의 훼손 시신들이 밀려왔습니다.
사망 경위가 알려지지 않은 이 시신들은 아직 부검이나 신원 파악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트리니다드 섬의 북동쪽 끝에 있는 쿠마나 마을에 취재진이 찾아간 르포 기사를 23일(현지시간) 게재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군의 카리브해 선박 공격이 처음 이뤄진 직후에, 시신 한 구가 파도에 떠밀려 이 마을 해안에 나타났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폭발로 훼손된 것처럼 보이는 이 시신의 얼굴에 화상 자국이 있었고 사지 중 일부 혹은 전부가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며칠 뒤에는 근처 해변에 시신 한 구가 또 밀려와서 육식성 새들이 몰려들었습니다.
이 시신 역시 얼굴을 알아볼 수가 없었고, 오른쪽 다리가 폭발로 떨어져 나간 것처럼 보였습니다.
이들 시신 2구는 외견상 라틴아메리카 출신일 공산이 커 보이며, 아프리카계 흑인이 많은 트리니다드에서는 보기 드문 외모였다고 쿠마나 마을 주민들은 NYT 기자들에게 설명했습니다.
베네수엘라 해안이 보일 정도로 가까운 인구 150명의 섬나라 트리니다드토바고에서는 이 시신들의 신원, 미군 공격과의 연관성 여부, 또 앞으로 이런 시신들이 계속 해변에 밀려올 것인가 등 의문들이 계속 제기되고 있습니다.
쿠마나에서 일하는 수도·하수 업체 직원 링컨 베이커(63)는 "내 생각엔 이 남성 시신들이 전쟁 희생자라는 점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이 카리브해 선박 공격을 시작으로 태평양 쪽으로 작전 해역을 넓히는 등 라틴아메리카 권역에서 펴고 있는 군사작전으로 숨진 사망자 수는 공식 집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37명입니다.
해변으로 파도에 밀려온 시신 2구와 별도로, 신원이 밝혀진 트리니다드토바고 국민 2명이 미국의 카리브해 선박 공격으로 숨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출처ㅣNYT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사망 경위가 알려지지 않은 이 시신들은 아직 부검이나 신원 파악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트리니다드 섬의 북동쪽 끝에 있는 쿠마나 마을에 취재진이 찾아간 르포 기사를 23일(현지시간) 게재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군의 카리브해 선박 공격이 처음 이뤄진 직후에, 시신 한 구가 파도에 떠밀려 이 마을 해안에 나타났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폭발로 훼손된 것처럼 보이는 이 시신의 얼굴에 화상 자국이 있었고 사지 중 일부 혹은 전부가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며칠 뒤에는 근처 해변에 시신 한 구가 또 밀려와서 육식성 새들이 몰려들었습니다.
이 시신 역시 얼굴을 알아볼 수가 없었고, 오른쪽 다리가 폭발로 떨어져 나간 것처럼 보였습니다.
이들 시신 2구는 외견상 라틴아메리카 출신일 공산이 커 보이며, 아프리카계 흑인이 많은 트리니다드에서는 보기 드문 외모였다고 쿠마나 마을 주민들은 NYT 기자들에게 설명했습니다.
베네수엘라 해안이 보일 정도로 가까운 인구 150명의 섬나라 트리니다드토바고에서는 이 시신들의 신원, 미군 공격과의 연관성 여부, 또 앞으로 이런 시신들이 계속 해변에 밀려올 것인가 등 의문들이 계속 제기되고 있습니다.
쿠마나에서 일하는 수도·하수 업체 직원 링컨 베이커(63)는 "내 생각엔 이 남성 시신들이 전쟁 희생자라는 점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이 카리브해 선박 공격을 시작으로 태평양 쪽으로 작전 해역을 넓히는 등 라틴아메리카 권역에서 펴고 있는 군사작전으로 숨진 사망자 수는 공식 집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37명입니다.
해변으로 파도에 밀려온 시신 2구와 별도로, 신원이 밝혀진 트리니다드토바고 국민 2명이 미국의 카리브해 선박 공격으로 숨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출처ㅣNYT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사지가 없기도" 섬마을에 밀려오는 시신들...美 공격 뒤 '흉흉' [지금이뉴스]](https://image.ytn.co.kr/general/jpg/2025/1024/202510241404395099_t.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