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다시 워싱턴을 찾았습니다.
김 실장은 귀국 사흘 만, 김 장관은 이틀 만에 후속 협상을 위해 방미길에 나선 겁니다.
[김정관/산업통상부 장관 : 지금 남아 있는 쟁점들이 있어서 쟁점들을 물론 화상으로도 하지만 직접 (얼굴) 보고하는 게 훨씬 효과적일 것 같아 직접 만나기로 했습니다.]
워싱턴 DC에 도착하자마자 미 상무부를 찾은 두 사람은 미국 측 협상 대표격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났습니다.
2시간 동안 이어진 협상을 마친 김용범 실장은 이견이 있었던 핵심 쟁점에서 일부 진전이 있었지만,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일부 또 진전이 있었고 많이 만나면 뭐 조금 더 이제 상호 입장을 더 이해하게 되는 거죠. 끝날 때까지 끝나는 데가 아니죠. 협상이라는 것은 늘 그렇지만 끝날 때까지 끝난 건 아니고요.]
남아 있는 한두 가지 쟁점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습니다.
3천500억 달러, 약 500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가운데 현금 비율과 자금 공급 기간을 중점적으로 논의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블룸버그 TV와의 인터뷰에서 통화스와프보다는 3,500억 달러의 투자를 어떻게 구성할지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구 부총리는 직접 투자와 대출, 보증을 혼합한 대미 투자 구성을 협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은 곧바로 애틀랜타를 경유해 귀국길에 올랐습니다.
김용범 실장은 경주 APEC이 우리에겐 중요한 계기라고 밝혀 이번 주 최종 협상 타결을 위한 한미 간 막판 줄다리기가 펼쳐질 것으로 보입니다.
워싱턴에서 YTN 홍상희입니다.
영상편집ㅣ양영운
자막뉴스ㅣ이 선 고현주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김 실장은 귀국 사흘 만, 김 장관은 이틀 만에 후속 협상을 위해 방미길에 나선 겁니다.
[김정관/산업통상부 장관 : 지금 남아 있는 쟁점들이 있어서 쟁점들을 물론 화상으로도 하지만 직접 (얼굴) 보고하는 게 훨씬 효과적일 것 같아 직접 만나기로 했습니다.]
워싱턴 DC에 도착하자마자 미 상무부를 찾은 두 사람은 미국 측 협상 대표격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났습니다.
2시간 동안 이어진 협상을 마친 김용범 실장은 이견이 있었던 핵심 쟁점에서 일부 진전이 있었지만,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일부 또 진전이 있었고 많이 만나면 뭐 조금 더 이제 상호 입장을 더 이해하게 되는 거죠. 끝날 때까지 끝나는 데가 아니죠. 협상이라는 것은 늘 그렇지만 끝날 때까지 끝난 건 아니고요.]
남아 있는 한두 가지 쟁점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습니다.
3천500억 달러, 약 500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가운데 현금 비율과 자금 공급 기간을 중점적으로 논의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블룸버그 TV와의 인터뷰에서 통화스와프보다는 3,500억 달러의 투자를 어떻게 구성할지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구 부총리는 직접 투자와 대출, 보증을 혼합한 대미 투자 구성을 협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은 곧바로 애틀랜타를 경유해 귀국길에 올랐습니다.
김용범 실장은 경주 APEC이 우리에겐 중요한 계기라고 밝혀 이번 주 최종 협상 타결을 위한 한미 간 막판 줄다리기가 펼쳐질 것으로 보입니다.
워싱턴에서 YTN 홍상희입니다.
영상편집ㅣ양영운
자막뉴스ㅣ이 선 고현주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