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중국 국방부가 17일(현지시간) 군 서열 3위였던 허웨이둥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등 고위직 9명과 관련, 부패 혐의 등으로 기율·법률을 심각히 위반했다며 중국공산당과 군에서 제명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장샤오강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허 부주석을 비롯해 군 서열 5위였던 먀오화 전 중앙군사위 정치공작부 주임 등에 대해 같은 결정이 내려졌다고 공개했습니다.
이들 2명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측근으로 평가되어온 인물로, 한때 일각에서는 이들의 낙마를 근거로 중국 최고권력부 내 지각 변화 가능성을 거론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처분은 20∼23일 제20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4중전회)를 앞두고 공개됐습니다.
처분 대상에는 허훙쥔 전 중앙군사위 정치공작부 상무부주임, 왕슈빈 전 중앙군사위 연합작전지휘센터 상무부주임, 린샹양 전 동부전구 사령원(사령관), 친수퉁 전 육군 정치위원, 위안화즈 전 해군 정치위원, 왕허우빈 전 로켓군 사령원, 왕춘닝 전 무장경찰부대 사령원 등도 포함됐습니다.
장 대변인은 "조사 결과 이들 9명은 당 기율을 심각히 위반했고 심각한 직무 범죄를 저지른 혐의를 받고 있다"며 "(관련) 액수가 특히 크고 (사안의) 성격이 매우 엄중하며 영향이 지극히 악질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들 9명에 대한 중앙군사위 군적 박탈은 이미 결정됐으며 범죄 혐의에 대해서는 군검찰에서 조사·기소할 예정입니다.
장 대변인은 "허웨이둥·먀오화 등에 대한 엄정한 조사·처분은 반부패 투쟁을끝까지 밀고 가겠다는 당 중앙과 중앙군사위의 확고한 결심을 다시 보여준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는 당과 군이 반부패 투쟁에서거둔 중대한 성과로, 인민군대가 더욱 강력한 응집력과 전투력을 갖추게 됐다"고 했습니다.
허 부주석은 2022년 10월 당 중앙군사위 부주석으로 임명됐고 이듬해 3월 장유샤와 함께 중앙군사위 부주석이 됐습니다.
그의 낙마설은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폐막식 이후 공식 석상에서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불거졌고 이후 부패 혐의로 낙마해 구금 상태로 조사받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온 바 있습니다.
중앙군사위 부주석은 중국 군부의 최고위직으로, 중앙군사위 주석인 시 주석을 보좌하며 200만 군을 관리하는 자리입니다.
중국에서 중앙군사위 부주석 정도의 고위급이 숙청된 사례는 드물며 이러한 내용을 자발적으로 공개하는 것도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허 부주석이 2017년 당시 쑨정차이 전 충칭시 당서기 이후 처음으로 제명되는 중앙정치국 위원이며, 문화대혁명 당시인 1967년 허룽 이후 처음으로 제명되는 중앙군사위 부주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최근 중국군 고위직의 대대적 숙청이 로켓군 뇌물 사건과 관련 있을 가능성을 거론했습니다.
마오쩌둥 전 주석 시기 이후 최대 규모로 평가되는 중국군 내 일련의 숙청 작업은 중국 미사일 전력을 약화했다고 평가되는 부패 사건 이후 이뤄진 시 주석의 대대적인 군 개편 작업을 시사한다는 것입니다.
2022년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20차 당대회)로 구성된 중앙군사위 구성원 7명 가운데 지난해 부패 문제로 실각한 리상푸 전 국방부장에 이어 허웨이둥과 먀오화의 낙마가 공식화하면서 시 주석을 비롯한 4명만 남게 됐습니다.
그런 만큼 이번 4중 전회 기간 이들을 대체할 인사가 발표될 것으로 관측됩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장샤오강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허 부주석을 비롯해 군 서열 5위였던 먀오화 전 중앙군사위 정치공작부 주임 등에 대해 같은 결정이 내려졌다고 공개했습니다.
이들 2명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측근으로 평가되어온 인물로, 한때 일각에서는 이들의 낙마를 근거로 중국 최고권력부 내 지각 변화 가능성을 거론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처분은 20∼23일 제20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4중전회)를 앞두고 공개됐습니다.
처분 대상에는 허훙쥔 전 중앙군사위 정치공작부 상무부주임, 왕슈빈 전 중앙군사위 연합작전지휘센터 상무부주임, 린샹양 전 동부전구 사령원(사령관), 친수퉁 전 육군 정치위원, 위안화즈 전 해군 정치위원, 왕허우빈 전 로켓군 사령원, 왕춘닝 전 무장경찰부대 사령원 등도 포함됐습니다.
장 대변인은 "조사 결과 이들 9명은 당 기율을 심각히 위반했고 심각한 직무 범죄를 저지른 혐의를 받고 있다"며 "(관련) 액수가 특히 크고 (사안의) 성격이 매우 엄중하며 영향이 지극히 악질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들 9명에 대한 중앙군사위 군적 박탈은 이미 결정됐으며 범죄 혐의에 대해서는 군검찰에서 조사·기소할 예정입니다.
장 대변인은 "허웨이둥·먀오화 등에 대한 엄정한 조사·처분은 반부패 투쟁을끝까지 밀고 가겠다는 당 중앙과 중앙군사위의 확고한 결심을 다시 보여준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는 당과 군이 반부패 투쟁에서거둔 중대한 성과로, 인민군대가 더욱 강력한 응집력과 전투력을 갖추게 됐다"고 했습니다.
허 부주석은 2022년 10월 당 중앙군사위 부주석으로 임명됐고 이듬해 3월 장유샤와 함께 중앙군사위 부주석이 됐습니다.
그의 낙마설은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폐막식 이후 공식 석상에서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불거졌고 이후 부패 혐의로 낙마해 구금 상태로 조사받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온 바 있습니다.
중앙군사위 부주석은 중국 군부의 최고위직으로, 중앙군사위 주석인 시 주석을 보좌하며 200만 군을 관리하는 자리입니다.
중국에서 중앙군사위 부주석 정도의 고위급이 숙청된 사례는 드물며 이러한 내용을 자발적으로 공개하는 것도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허 부주석이 2017년 당시 쑨정차이 전 충칭시 당서기 이후 처음으로 제명되는 중앙정치국 위원이며, 문화대혁명 당시인 1967년 허룽 이후 처음으로 제명되는 중앙군사위 부주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최근 중국군 고위직의 대대적 숙청이 로켓군 뇌물 사건과 관련 있을 가능성을 거론했습니다.
마오쩌둥 전 주석 시기 이후 최대 규모로 평가되는 중국군 내 일련의 숙청 작업은 중국 미사일 전력을 약화했다고 평가되는 부패 사건 이후 이뤄진 시 주석의 대대적인 군 개편 작업을 시사한다는 것입니다.
2022년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20차 당대회)로 구성된 중앙군사위 구성원 7명 가운데 지난해 부패 문제로 실각한 리상푸 전 국방부장에 이어 허웨이둥과 먀오화의 낙마가 공식화하면서 시 주석을 비롯한 4명만 남게 됐습니다.
그런 만큼 이번 4중 전회 기간 이들을 대체할 인사가 발표될 것으로 관측됩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