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주한미군이 내란 특검의 경기도 오산 공군기지 압수수색에 항의하는 서한을 우리 정부에 보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주한미군은 최근 데이비드 아이버슨 부사령관 명의로 외교부에 서한을 보내 내란 특검이 지난 7월 공군 오산기지 중앙방공통제소를 압수수색한 것을 두고 우려를 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검은 당시 압수수색이 미군과는 관련이 없다고 설명했지만, 미 측은 주한미군지위협정, SOFA에 따라 사전 협의를 거쳤어야 한다고 보고 설명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교부는 외교 관례상 한미 당국 간 소통 사항을 확인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고 주한미군은 우리 수사 당국과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고만 밝혔습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8월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우리 정부가 미군기지에서 정보를 수집했다는 글을 SNS에 올렸다가 미군을 목표로 한 수사가 아니었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설명을 듣고 오해가 있었다며 물러섰습니다.
기자ㅣ나혜인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주한미군은 최근 데이비드 아이버슨 부사령관 명의로 외교부에 서한을 보내 내란 특검이 지난 7월 공군 오산기지 중앙방공통제소를 압수수색한 것을 두고 우려를 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검은 당시 압수수색이 미군과는 관련이 없다고 설명했지만, 미 측은 주한미군지위협정, SOFA에 따라 사전 협의를 거쳤어야 한다고 보고 설명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교부는 외교 관례상 한미 당국 간 소통 사항을 확인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고 주한미군은 우리 수사 당국과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고만 밝혔습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8월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우리 정부가 미군기지에서 정보를 수집했다는 글을 SNS에 올렸다가 미군을 목표로 한 수사가 아니었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설명을 듣고 오해가 있었다며 물러섰습니다.
기자ㅣ나혜인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